![]() |
조직 개편을 추진 중인 경찰이 대구를 비롯한 전국 6개 시·도 경찰청의 '지하철경찰대'를 해체 또는 축소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현장 중심의 치안 강화를 내세운 당초 조직개편의 목적과 거리감이 적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최근 발표된 경찰청 조직 개편안에 따르면 대구·부산·인천·경기남부·경기북부 경찰청 산하 지하철경찰대를 해체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서울경찰청 지하철경찰대는 기존 인력을 절반으로 감축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혔다. 대구경찰청 지하철경찰대는 반월당역에 사무실을 두고 도시철도 1~3호선을 관할한다. 근무인원은 총 8명이다. 이들은 안전사고 관리, 각종 범죄 예방·순찰 활동 등을 하고 있다.
![]() |
영남일보 DB |
대구경찰청 관계자는 "과거 빈번했던 소매치기, 성추행과 같은 범죄는 최근엔 사라지는 추세다. 지하철경찰대가 있던 타 시·도 경찰청에서도 범죄발생 유형 변화 등으로 운영이 중단된 바 있다"며 "조직 개편 결과가 최종적으로 나와 봐야 알 수 있겠지만 시민이 체감하는 치안 서비스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하철 범죄는 코로나19 이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국민의힘 정우택 국회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지하철 내 범죄는 2019년 2천755건이었으나 지난해엔 3천878건으로 40.8%(1천123건) 증가했다. 대구에서도 2021년 32건, 2022년 84건 등 코로나19 기간 도시철도 이용객 감소로 사건 발생 자체가 감소했으나, 올해는 9월까지 89건이 발생해 이미 지난해 사건 발생 건수를 넘어선 상태다.
이 같은 지하철경찰대 해체 움직임 소식을 접한 일부 시민은 불안감을 드러냈다. 김모(수성구 범어동)씨는 "대구는 방화로 200명 가까운 인명이 희생된 지하철참사를 겪은 도시다. 이 때문에 아직도 도시 전체가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며 "지하철을 순찰하는 경찰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안도감을 준다. 시민의 안전을 위해 지하철경찰대는 존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