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고3 학생 1명이 등교 하루 만에 코로나19 확진판정을 받아 보건당국이 긴장하고 있는 가운데 대구 달서구 보건소 선별진료소에 한 고3 학생이 구급차로 이송돼 검체 채취를 받으러 가고 있다. 영남일보 DB |
![]() |
<대구소방안전본부 제공> |
26일 대구소방안전본부 등에 따르면 '병원 전 중증도 분류(Pre-KTAS)'를 활용한 구급스마트시스템이 오는 30일부터 대구지역 소방서 63개 구급대에 도입될 예정이다. 신속·효율성이 떨어지는 현재의 구급 관련 시스템을 개선하고 통합하는 것으로, 내년 전국 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소방청은 지난해 이태원 참사와 올해 대구에서 벌어진 응급실 뺑뺑이 사태를 계기로 구급스마트시스템 도입에 공을 들이고 있다. 환자가 이송된 병원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기능, 구급대가 다수 병원 응급실에 환자 정보를 제공하면 응급실 수용 가능 여부 등을 일괄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등이 핵심이다.
구체적으로는 구급대가 이송한 환자의 '응급환자번호'(EPN)를 의료기관이 '국가응급의료진료망'(NEDIS)에 기재하면 추후 업데이트되는 환자 정보를 소방에서 실시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기존에는 환자 이송 현황 등 정보가 업데이트되는 데 한 달 이상 걸렸다.
구급대원이 구급 단말기로 환자 상태를 입력한 뒤 이송 가능한 의료기관에 환자 수용을 요청하고, 전산을 통해 이송 알람을 받은 대상 의료기관에서 수용 결정을 내리면 해당 병원으로 이송하게 된다.
하지만 관련 법 개정 등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다. 현재 환자 개인정보를 소방청이 공유할 수 있도록 국민의힘 강기윤 의원이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발의했으나,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계류된 상태다. 소방청도 별도로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법이 통과된다고 하더라도 의료기관들이 응급환자번호를 국가응급의료진료망에 기재하려면 소관 부처인 보건복지부 등과 추가 협의를 해야 한다.
응급실 수용 가능 여부 등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기능 또한 도입에 난항을 겪을 전망이다. 응급실 과밀화, 인력난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료기관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야만 하기 때문이다. 대구 소방 또한 도입을 앞두고 지역 응급의료기관을 방문해 협조 요청 및 설명회를 하는 등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대구의 경우 구급 상황관리센터에서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책임형 응급의료 대책과 함께 운영함에 따라 의료기관 선정 시 어려움이 상당 부분 해소되지만, 그렇지 않은 지자체에서는 다소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며 "도입 초기인 만큼 시스템 운영상 발생하는 오류 등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완해나가고 있다"고 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