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구 도심 빈집, 방치하면 '흉물' 잘 가꾸면 '보물'

  • 논설실
  • |
  • 입력 2023-11-01  |  수정 2023-11-01 06:59  |  발행일 2023-11-01 제27면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빈집이 크게 늘고 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빈집은 13만여 호(도시지역 4만2천호·농어촌지역 8만9천호)나 된다. 농어촌지역 못지않게 도시지역의 빈집 문제도 심각해지고 있다. 청년인구 유출과 재개발 중단 탓에 우후죽순 생겨난 빈집이 도심에 산재한 '흉물'이 되고 있다. 대구도 예외가 아니다. 도심 곳곳에 방치된 3천500여 호의 빈집이 골칫덩이가 된 지 오래다. 행정당국의 제대로 된 정비와 관리가 절실한 상황이다.

알다시피 도심 빈집은 많은 사회적 문제를 야기한다. 도시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붕괴 위험마저 있다. 또 인접 지역을 슬럼화시키고 범죄 사각지대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빈집이 사유재산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행정당국이 나서기도 쉽지 않다. 그렇다고 전혀 방법이 없는 건 아니다. 대구 중구의 빈집 정비사업이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중구청은 60여 채의 빈집 소유자로부터 토지를 무상 임대받아 쉼터·주차장·텃밭·공원으로 만들었다. 흉했던 빈집이 생활편의시설로 변신했으니 주민 만족도가 높은 건 당연하다. 중부경찰서가 빈집이 청소년 우범지대로 악용되는 걸 막기 위해 치안 강화에 적극 나선 것도 긍정적이다. 대구 중구 사례에서 보듯, 애물단지인 도심 빈집도 제대로 재정비하면 지역주민을 위한 '보물'이 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가장 필요한 건 지자체의 의지일 것이다. 하지만 예산이 부족한 지자체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국가차원의 해법이 있어야 한다. 정부가 나서서 전국의 빈집관리 체계를 세우고 지역별 특성에 맞는 정비·활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