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확진 11일 만에 69건으로 늘어나는 등 소 럼피스킨병이 파죽지세로 전국을 휩쓸고 있다. 전신성 피부병 증상으로 인한 유량 감소를 비롯, 비쩍 마르거나 유산·불임 등 심각한 생산성 저하를 유발하는 제1종 가축전염병이다. 국내 발생은 이번이 처음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발표한 충남 서산에서의 확진을 시작으로 10월 말 현재 전국에서 69건의 확진이 집계됐다. 국내 최대 한우사육지인 경북은 특·광역시와 제주를 제외하면 사실상 유일한 청정지역으로 남아 있다.
경북도는 초비상이 걸렸다. 강원·충북·경남 등 인접한 도에서 잇따라 럼피스킨병이 발생했다. 언제, 어떻게 유입될지 모르기 때문에 선제대응만이 답이다. 긴급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축산농가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강화하면서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아야 한다. 도는 백신접종 후 3주 정도의 항체형성기간을 감안하면 11월 말쯤이면 이번 사태가 진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구도 1일부터 긴급 예방접종에 나섰다.
경북이 마지막까지 청정지역으로 남을 수 있었던 저력은 풍부한 전염병 극복 경험과 이에 대처하는 민·관의 자세에 있다. 소를 가장 많이 키우는 만큼 크고 작은 질병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도 강력한 대처가 시스템화됐을 뿐 아니라, 사육농가의 적극적이고도 자발적인 협력이 큰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거점 소독시설 및 공동방제단의 모범적인 운영 등도 위기 때 빛을 발휘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럼피스킨병은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고, 감염된 소가 발생한 농장의 모든 소를 살처분하기 때문에 소고기나 우유도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초비상이 걸렸다. 강원·충북·경남 등 인접한 도에서 잇따라 럼피스킨병이 발생했다. 언제, 어떻게 유입될지 모르기 때문에 선제대응만이 답이다. 긴급 예방접종을 실시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축산농가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강화하면서 긴장의 끈을 늦추지 않아야 한다. 도는 백신접종 후 3주 정도의 항체형성기간을 감안하면 11월 말쯤이면 이번 사태가 진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구도 1일부터 긴급 예방접종에 나섰다.
경북이 마지막까지 청정지역으로 남을 수 있었던 저력은 풍부한 전염병 극복 경험과 이에 대처하는 민·관의 자세에 있다. 소를 가장 많이 키우는 만큼 크고 작은 질병이 발생할 경우 신속하고도 강력한 대처가 시스템화됐을 뿐 아니라, 사육농가의 적극적이고도 자발적인 협력이 큰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거점 소독시설 및 공동방제단의 모범적인 운영 등도 위기 때 빛을 발휘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럼피스킨병은 사람에게 감염되지 않고, 감염된 소가 발생한 농장의 모든 소를 살처분하기 때문에 소고기나 우유도 안심하고 먹어도 된다"고 밝혔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