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신당설이 나오고 있다. 정치 일정상 이맘때면 늘 있어 온 이슈이기도 하지만 이번에는 예사롭지 않다. 이준석 국민의힘 전 대표가 지난 9일 대구를 방문, 유의미한 도전을 하겠다며 신당 가능성을 밝혔다. 그는 영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는 최종 결심을 놓고 다음 달 27일이란 구체적 날짜를 제시했다. 이 전 대표는 이어 김종인 국민의힘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새로운 선택'이란 당을 창당 준비 중인 금태섭 전 의원과 회동하기도 했다.
집권당의 전직 대표가 당을 뛰쳐나와 새로운 당을 만들겠다는 것은 전례가 드물다. 그만큼 국민의힘으로서는 곤혹스러운 장면이다. 여기다 이 전 대표는 신당으로 가면 TK(대구경북)에서 도전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TK는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정치동력의 엔진인 지역이다. 국민의힘은 인요한 혁신위 체제가 가동되면서 '이준석 달래기'에 나서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어느 쪽이 '환자'인지를 놓고 신경전만 벌였다. 물론 이 전 대표는 여지를 남기고 있다. 극적 합의를 상정한 것인데, 이 전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진짜 국정개혁을 하고 이른바 '윤핵관'의 정리를 통해 집권 여당이 혁신의 길을 간다면 자신은 신당을 하려야 할 수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거대 양당이 극단의 정치로 치닫는 현 상황에서 제3지대 신당은 한편 국민의 선택지를 넓히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정치지형은 민심의 뜻을 반영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좋다 나쁘다란 가치판단의 주제는 아니다. 다만 3지대는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뺄셈의 정치가 될 게 명확하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우리와 한배를 탔던 사람들을 배척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은 집권여당 스스로 새길 대목이다.
집권당의 전직 대표가 당을 뛰쳐나와 새로운 당을 만들겠다는 것은 전례가 드물다. 그만큼 국민의힘으로서는 곤혹스러운 장면이다. 여기다 이 전 대표는 신당으로 가면 TK(대구경북)에서 도전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TK는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정치동력의 엔진인 지역이다. 국민의힘은 인요한 혁신위 체제가 가동되면서 '이준석 달래기'에 나서고 있으나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 어느 쪽이 '환자'인지를 놓고 신경전만 벌였다. 물론 이 전 대표는 여지를 남기고 있다. 극적 합의를 상정한 것인데, 이 전 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진짜 국정개혁을 하고 이른바 '윤핵관'의 정리를 통해 집권 여당이 혁신의 길을 간다면 자신은 신당을 하려야 할 수도 없을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 거대 양당이 극단의 정치로 치닫는 현 상황에서 제3지대 신당은 한편 국민의 선택지를 넓히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정치지형은 민심의 뜻을 반영한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좋다 나쁘다란 가치판단의 주제는 아니다. 다만 3지대는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뺄셈의 정치가 될 게 명확하다.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우리와 한배를 탔던 사람들을 배척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은 집권여당 스스로 새길 대목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