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서구의회 행정사무감사. |
24일 오후 1시 30분 열린 행정사무감사에서는 △악취 원인 파악 △악취관리구역 지정 △하·페수처리장 통합지하화 사업 △악취 민원 대응 △화학물질 안전관리 등에 대한 질의와 지적이 쏟아져 나왔다.
이주한 구의원은 민원 대응 시 구청의 정확한 용어 사용과 설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 구의원은 상리음식물류폐기물처리시설 등에서 나오는 흰색 연기 등을 촬영한 영상을 송출하며 "구청에선 백연을 단순 '수증기'라고 하며 무해하다는 듯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있지만, 배출허용기준 내의 연기지 무해한 것은 아니라는 전문가들과 종사자들의 증언이 있다"고 말했다.
백일권 구의원은 복합 악취에 대한 구청의 선제적인 원인 분석을 요구했다. 그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며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이 4천만원의 예산으로 악취 원인에 대한 조사 용역에 나선다고 하는데 업무에 참고하면 어떨까 싶다"라고 설명했다.
![]() |
대구 서구 평리뉴타운 지역 주민들이 13일 오후 3시 서구청 앞에서 집회를 열고 즉각적인 악취 저감 대책과 악취관리지역 지정을 촉구했다. 영남일보 DB |
이어 서구의원들은 염색산단 인근 악취관리지역 지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어 서구가 대구시의 대책만 기다리지 말고 자체적으로 실태조사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백 구의원은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사업이 염색산단 이전 용역 결과에 맞물려 늦어지고 있는데, 서대구역세권개발사업이 정상 추진되려면 통합지하화 사업이 이뤄져야 한다"며 대구시에 조속한 사업 추진을 촉구했다.
한편 김종일 구의원은 지난 7월 염색산단 황산가스 누출사고 당시 소방당국의 안전문자 발송 권고에도 서구가 안전문자를 발송하지 않은 점(영남일보 2023년 7월 24일자 제6면 기사)을 지적했다. "향후 안전 관리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행정을 펼치고 주민들로부터 서구청이 안전불감증에 걸렸다는 말을 듣지 않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에 서구 관계자는 "상황에 따라 주민 고지를 해야 했는데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사고 매뉴얼을 조례에 명시해 현행화했다. 다음 사고 발생 시에는 즉시 고지를 해서 주민들이 빠르게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조치를 해놓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글·사진=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