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혈압 약물에서 재발성 난소암 치료 효과를 찾아낸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민상현 책임연구원, 김남희 연구원. <케이메디허브 제공> |
![]() |
고혈압 약물에서 재발성 난소암 치료 효과를 찾아낸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이희진 연구원, 김영규 연구원. <케이메디허브 제공>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가 고혈압약에서 난소암 치료 효과를 찾아냈다. 재발성난소암 치료제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케이메디허브는 지난달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 '2023 AACR-NCI-EORTC'에서 '난소암 재발 방지를 위한 병용치료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학술대회는 세계 최고 권위의 3대 암 연구기관인 AACR (미국암학회), NCI (미국국립암연구소), EORTC (유럽암학회)이 공동 주관한다.
최근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 민상현 책임, 김영규·이희진·김남희 연구원은 고혈압약으로 사용되던 칼슘채널 억제제와 EGFR(HER4) 억제제 포지오티닙을 병용 처리하면 재발성 난소암의 성장과 암줄기세포증식 억제 및 세포사멸 유도에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기존 난소암 치료는 시스플라틴과 같은 백금 기반 약물이나 니라파립 및 올라파립과 같은 PARP 억제제가 사용됐다. 하지만 재발이 잦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연구 중인 약물은 재발의 원인인 난소암줄기세포 증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암줄기세포의 자가재생과 관련한 신호전달 경로와 줄기세포능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이 입증됐다. 지난 4월 용도 변경에 대한 국내 특허 등록도 완료됐다.
이번 연구는 난소암 재발의 주요 원인인 난소암줄기세포 성장을 억제하는 치료제를 발굴하기 위해 1천100여개의 라이브러리(FDA승인 및 임상) 스크리닝에 의한 신약재창출을 살펴보고 있다. 특히 연구 중인 칼슘채널 억제제는 FDA 승인을 얻었고 포지오티닙의 경우 임상 3상까지 완료했다. 안전성이 입증돼 있어 치료제 개발시 시장에 빨리 진입할 수 있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신약재창출은 시장에서 이미 판매중이거나 상업화에 실패한 약물들의 새로운 의학적 용도를 개발하는 신약개발의 한 방법"이라며 "개발 기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재발성 난소암에 대한 특이적 항암치료 전략으로 개발되도록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손선우기자 sunwoo@yeongnam.com
손선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