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오늘(26일) 온라인으로 전국위원회를 열어 자동응답시스템(ARS) 투표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 임명을 확정한다. 내년 4월 총선을 100여 일 앞두고 '한동훈 비대위' 체제가 출범하는 것이다. 한 위원장은 보수층을 중심으로 많은 국민적 지지를 받고 있지만 정치인으로서 역량을 평가받는 건 이제부터다. 총선 승리 '총대'를 멘 한 위원장이 개선장군이 될지 아니면 패장이 될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 분명한 건 고만고만한 당 쇄신책으로는 국민 마음을 얻을 수 없다는 사실이다. 정치권 전체를 관통하는 개혁 키워드가 필요하다.
당장 한 위원장 앞에는 풀어야 할 난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이준석 전 대표 탈당(27일), '김건희 특검법' 처리(28일), 비대위원 인선(29일)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 이 모두 여권 통합, 당정 관계 정립, 당 쇄신과 관련된 주요 현안들이다. 한동훈 비대위의 성패가 조기에 좌우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강행 처리하려는 '김건희 특검법' 대처가 중대 고비다. 대통령실은 '절대 불가' 방침을 고수하지만, 특검법 전면 거부가 민주당에게 총공세 빌미를 준다는 점에서 능사가 아니다. 독소 조항을 없앤 후 총선 후 추진하는 방안으로 당력을 모으는 게 현실적인 대안으로 보인다.
한 위원장은 정치 경험이 없다는 게 약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는 최대 강점이 될 수 있다. 부패한 기존 정치에 대한 국민적 환멸과 분노가 임계점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위원장은 정치인들에게 빚진 게 없다. 오로지 민심만 받들면 된다. 국민이 늘 바라는 건 정치개혁이다. 무엇보다 국회가 틀어쥐고 있는 부당한 특혜부터 없애야 한다.
당장 한 위원장 앞에는 풀어야 할 난제가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이준석 전 대표 탈당(27일), '김건희 특검법' 처리(28일), 비대위원 인선(29일)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 이 모두 여권 통합, 당정 관계 정립, 당 쇄신과 관련된 주요 현안들이다. 한동훈 비대위의 성패가 조기에 좌우될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이 강행 처리하려는 '김건희 특검법' 대처가 중대 고비다. 대통령실은 '절대 불가' 방침을 고수하지만, 특검법 전면 거부가 민주당에게 총공세 빌미를 준다는 점에서 능사가 아니다. 독소 조항을 없앤 후 총선 후 추진하는 방안으로 당력을 모으는 게 현실적인 대안으로 보인다.
한 위원장은 정치 경험이 없다는 게 약점으로 꼽힌다. 하지만 이는 최대 강점이 될 수 있다. 부패한 기존 정치에 대한 국민적 환멸과 분노가 임계점에 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위원장은 정치인들에게 빚진 게 없다. 오로지 민심만 받들면 된다. 국민이 늘 바라는 건 정치개혁이다. 무엇보다 국회가 틀어쥐고 있는 부당한 특혜부터 없애야 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