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점점 커지는 大·中企 임금·복지 격차…좁혀야 나라가 산다

  • 논설실
  • |
  • 입력 2023-12-27  |  수정 2023-12-27 06:55  |  발행일 2023-12-27 제27면

근로자를 위한 복지 혜택(식사비·교통비·학자금 등)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고용노동부 자료에 따르면 직원 1인당 복지비용 격차는 지난해 월 26만4천원으로 2012년(8만7천500원) 대비 3배에 이르렀다. 지난해 월 1인당 복지비용도 대기업은 40만900원으로 중소기업의 3배다. 지난해 중소기업 자녀학비 보조비용은 대기업의 13.5%, 건강 보조비용은 14.7% 수준에 불과했다. 앞으로 그 격차가 좁혀질 가능성도 희박하다. 양극화의 고착화다.

임금 격차도 나날이 커지기는 마찬가지다. 지난해 대기업 월평균 노동비용(임금·상여금·퇴직급여·4대 보험료 회사 부담분 등)은 760만8천원으로 전년 대비 6.7% 늘어난 반면, 중소기업은 483만원으로 0.7% 오르는 데 그쳤다. 사정이 이러니 청년들이 중소기업 취업을 외면할 수밖에 없다. 중소기업 직원도 기회만 되면 대기업 이직을 시도한다. 청년 구직자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중소기업에 취업하지 않겠다는 응답자(356명)의 55.3%가 '낮은 연봉'(복수응답)을 그 이유로 들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복지 양극화는 더는 손 놓고 있어선 안 될 국가적 문제다. 이는 지역균형발전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너도나도 수도권 대기업만 좇으니 지방은 소외될 수밖에 없다. 나아가 '지방 소멸'로도 이어질 수 있는 일이다. 기업 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부의 특단 대책이 요구된다. 기존 중소기업 취업 지원 프로그램도 실효성 있게 추진돼야 한다. 중소기업 사업주는 적정 임금 보장과 근무 여건 개선에 나서야 하며, 정부는 이런 중소기업에 세제·자금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