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1월27일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한 이철우(오른쪽) 경북도지사가 당시 일본지사회의회장이던 히라이 신지 돗토리현 지사와 만나 중단됐던 한·일지사회의 복원에 전격 합의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저출생 극복을 위해 적극적인 정책을 펴고 있는 경북도와 일본 돗토리현이 육아정책 자매도시를 추진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7일 저출생 극복 우수 지자체로 주목받고 있는 일본 돗토리현의 히라이 신지 지사와 통화하고 저출생 해결에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
이 도지사는 통화에서 "일본 돗토리현의 저출생 극복 사례가 한국에서도 크게 주목받고 있다"며 "경북도도 저출생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과감한 정책을 펴고 있는데, 돗토리현 사례 잘 참고하고 있다"고 전했다.
돗토리현은 2010년 '육아 왕국 돗토리 선언'을 시작으로 모든 정책 역량을 출산율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08년 최하위 수준의 출산율이 2022년 전국 최고수준(1.6명)으로 올라섰다. 일본 출산율은 2022년 기준 1.26명이다.
특히 돗토리현 정책의 핵심은 '현금성 지원' 보다는 아이를 낳을 수 있도록 돕는 '출산·육아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30대에는 보육지원, 40대 이상에는 난임치료 등의 정책을 펴고 있다.
공직사회도 남성 육아휴직을 권장하고, 여성 간부 비율 확대와 육아를 장려하는 상사, 일명 '이쿠보스(육아를 적극적으로 돕는 상사)'를 우대하는 등 일과 가정의 양립에 선도적으로 나서고 있다.
돗토리현의 정책 방향은 경북도의 전략과 맥을 같이한다.
'저출생과 전쟁'을 선포한 경북도는 지난 13일 100대 저출생 전쟁 실행전략을 발표하고 만남부터 결혼, 주거, 출산, 양육 등 전(全)주기를 아우르는 종합계획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고 있다.
![]() |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27일 집무실에서 히라이 신지 돗토리현 지사와 저출생 해결에 함께 협력하자는 내용의 통화를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이에 히라이 신지 지사는 "경북도가 저출생과 전쟁을 선포한데 대해 적극 공감하고, 앞으로 상호 협력을 통해 저출생 극복은 물론, 다양한 분야의 협력으로 확대되기를 기대한다"고 화답했다.
이 도지사와 히라이 신지 지사는 이미 친밀한 사이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이 도지사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 자격으로 일본을 방문했을 당시 일본지사회의회장이던 히라이 신지 지사와 만나 중단됐던 한·일지사회의 복원에 전격 합의하는 등 교류를 이어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