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해 12월 1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구자근·이인선 국회의원 공동으로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영남일보DB |
오는 14일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호남지역 광역지자체들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발 빠른 대응을 보이면서,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히던 경북과는 대조를 보이고 있다.
전력을 수요지역에서 우선 수급하도록 하는 것을 골자로 한 분산에너지 특별법(이하 특별법)은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의 근거도 담고 있다. 특화지역으로 지정될 경우, 한전을 경유하지 않고 전력 생산자와 소비자 직거래도 가능하다.
때문에 전력자급률 1위(216%)인 경북이 가장 큰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정작 특별법 시행에 맞춰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이는 곳은 호남 지자체들이다.
전북도는 '전북형 분산에너지 모델'까지 마련해 특화지역 지정에 올인하고 있다.
전북도는 이를 위해 3단계 전략을 세웠다. 1단계는 군산국가산단 또는 새만금산단 우선 지정 추진, 2단계 시·군 대상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계획, 3단계 신에너지형 산단 특화지역 추진이 그것이다.
전북도는 새만금 인근에 7GW 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시설을 조성, 전력자급률을 현재 72%에서 126%으로 끌어 올릴 계획도 세웠다.
전력자급률이 198%인 전남도 역시 14일 국회에서 '분산에너지 수도 전남' 포럼을 개최한다. 또 특화지역 선정에 대비해 지난해 10월 연구 용역에 들어갔으며, △여수 청정수소공급망 △장성 데이터센터연계통합발전소 등 7개 사업 모델을 발굴, 특화지역 신청을 서두르고 있다. 2036년까지 30GW 규모의 해상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단지도 건설할 계획이다.
전북과 전남이 특화지역 지정에 전력을 기울이는 것은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에 따른 수도권의 반도체,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기업을 유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경북의 준비는 이들 지역에 비해 한참 늦다는 평가다.
경북도는 올 2월에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계획 수립, 분산에너지 지원센터 유치 전략, 경북형 지역별 전기요금제 모델 구축 등이 포함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중간보고회도 갖지 못했으며, 10월 최종보고회 일정만 확정된 상태다.
경북도는 또 국회 포럼도 12월로 예정하고 있다. 특히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선정을 위한 시·군 설명회도 올 하반기에 연다는 계획만 있을 뿐이다. 유관기관·전문가·기업이 참여하는 '경북형 분산에너지 추진 협의체'도 하반기에 구성될 전망이다.
임성수·오주석기자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