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특검' 반발 받아친 韓 "재의결 막을 자신 있나"

  • 정재훈
  • |
  • 입력 2024-06-26  |  수정 2024-06-26 07:21  |  발행일 2024-06-26 제5면
대통령실 측 "반윤 넘어 절윤"

'채상병 특검법'이 지난 21대 국회 마지막에 이어 국민의힘 전당대회 초반 이슈도 모두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는 모양새다. 여당 자체의 채상병 특검법은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출마선언과 동시에 제시한 이슈다. 이에 타 주자들의 공세도 집중됐고 대통령실도 불편한 기색을 여과 없이 드러내면서 '비윤 vs 친윤' 구도로 흐르는 전당대회를 명확히 보여준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한 전 위원장은 지난 23일 기자회견에서 '채상병 특검법'에 대해 "지금 이 시점에서 우리 국민의힘이 특검을 반대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진실 규명을 위한 특검을 우리 국민의힘이 나서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 대표가 되면 국민의힘의 채상병 특검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이에 나머지 주자(나경원·원희룡·윤상현)들은 "내부 전선을 교란시키는 행위"라며 일제히 비판을 가했다. 이후 한 전 위원장이 '민주당의 특검법안에는 반대한다'는 뜻을 밝히면서 수습에 나섰지만 25일에도 사태는 악화됐다.

특히 대통령실은 대놓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전날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한 전 위원장의 제안에 대해 "한 전 위원장만을 위한 해법"이라고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러면서 "한 전 위원장은 '반윤' 수준을 넘어선 '절윤'"이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의 한 관계자도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타 주자들은 채상병특검법을 고리로 당정관계가 악화할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우고 있다. 윤상현 의원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 전 위원장의 지난 총선 공천과 윤 대통령의 식사 초청 거절, '채상병특검법' 추진 발언 등을 언급, "대통령과 의도적으로 각을 세우는 것으로밖에 안 보인다. 신뢰가 있다면 절대 이렇게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한 전 위원장이 대표가 될 경우 (윤석열 대통령의) 탈당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 전 위원장은 이 같은 논란에 대해 발끈했다. 한 전 위원장은 채상병 특검법에 대한 경쟁 주자와 당내 반발에 대해 "그것이 민심을 최선으로 따르는 길이라는 점을 말씀드린다. 그럼 어떻게 하겠다는 것이냐"고 되물었다. 이어 "(대통령) 거부권 행사 이후 재의결 됐을 때 이 정도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과연 거부권 재의결하는 걸 막을 자신 있냐"고 했다.

다만 그는 '민주당이 개헌을 통한 4년 중임제 및 윤 대통령 임기단축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야당이 말하는 논의는 끌어내리겠다. 탄핵을 주장하는 것과 이름만 바꾼 거 아닌가. 그건 헌법적으로도 헌법 정신에도 반하는 것"이라고 윤 대통령을 감쌌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