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길어지는 대구 건설업계 불황…민·관 합심해서 극복해야

  • 논설실
  • |
  • 입력 2024-06-28  |  수정 2024-06-28 06:58  |  발행일 2024-06-28 제27면

대구 건설업계 불황이 예사롭지 않다. 길고 깊어진 데다, 돌파구마저 보이지 않을 만큼 심각하다. 공사 계약액이 크게 줄면서 현재는 물론, 가까운 미래도 가시밭길 투성이다. 최근 수년 새 융단폭격 같았던 외지건설사의 물량공세는 '미분양 무덤'이라는 오명을 고착화시켰다. 또 그로 인해 나타나는 부작용이나 불안함의 상당 부분이 지역건설사에 전가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경기 활성화가 가장 안정적이고 이상적인 해법이긴 하나, 시기를 가늠하기 힘든 현실이 더욱 고통스러울 수밖에 없다.

건설업계 동향에 관심이 쏠리는 가장 큰 이유는 후방효과가 상당한 산업이기 때문이다. 수십, 수백 가지 공정에 참여하는 관련 산업이 엄청나다. 협력업체의 경기가 곧바로 연동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장기 침체에 따른 후폭풍도 만만찮다. 대구지역 건설업계의 지난해 계약액은 2조5천687억원이었다. 이는 2022년 2조9천251억원에 비해 12% 정도가 감소한 규모다. 특히 지난해 주택 착공물량은 1천124세대로, 최근 10년 평균 한 해 착공물량보다 90% 이상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궁여지책으로 역외 또는 해외진출을 고민하지만 마땅한 대안이 되기에는 분명한 한계가 존재한다. 일감찾기가 쉽지 않은 데다 수주를 하더라도 간접비 상승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이다. 건설업계의 자구책 마련과 피나는 노력은 현재의 위기를 극복하는데 반드시 전제돼야 할 1순위다. 이와 함께 대구시의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도 필요해 보인다. 외지건설사에 맞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지역건설업계의 호소에 귀 기울이면서 하도급 참여율 확대 등 법이 허용하는 최대치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