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노동단체 "아리셀 참사는 人災…이주노동자 안전대책 마련하라"

  • 김태강,이현덕
  • |
  • 입력 2024-07-02  |  수정 2024-07-02 07:23  |  발행일 2024-07-02 제8면
민주노총 등 지역노동단체, 1일 CGV한일 앞에서 기자회견

"아리셀 참사는 위험의 외주화가 부른 예견된 참사…

불법파견 철폐하고 이윤보다 생명 우선되는 사회 만들어야"

5일까지 CGV한일 앞에서 희생자 추모 분향소 운영
지역 노동단체 아리셀 참사는 人災…이주노동자 안전대책 마련하라
1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열린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진상규명 및 재발 방지 대책 수립 촉구 기자회견'에 참석한 시민들이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를 촉구하고 있다. 대구지역 기자회견은 민주노총 대구본부, 대경이주연대회의, 대구4.16연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지역 노동단체 아리셀 참사는 人災…이주노동자 안전대책 마련하라
1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에 설치된 아리셀 화재 참사 대구지역 추모분향소를 찾은 시민들이 헌화 및 묵념을 하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대구지역 노동단체가 31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화성 아리셀 참사에 대해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수립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대구지역본부, 대경이주연대회의 등 지역 노동사회단체는 1일 대구 중구 CGV한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아리셀 중대재해참사는 명백한 인재(人災)"라며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즉각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 사고를 위험의 외주화가 부른 예견된 참사로 규정하고 이주노동자에 대한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단체는 "아리셀은 불법 파견으로 다수 이주 노동자들을 고용하고 있었으며, 3개월 전 소방당국으로부터 '급격연소에 따른 다수의 인명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을 받았음에도 조치하지 않아 많은 이들의 분노를 일으키고 있다"며 "국내 전체 노동자 중 이주노동자는 3.2%에 불과하지만, 사망사고 비율(지난해 기준 10.4%)은 이의 4배에 육박한다. 제대로 된 안전교육 등 이주 노동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노동 안전대책이 필요한 이유"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고용노동부가 제조업 사업장에 만연한 불법 파견을 엄단하고 뿌리 뽑았다면 이 같은 참사와 위험은 줄어들었을 것"이라며 "이를 고려할 때 대구지방고용노동청은 대구지역 내 '파견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위반 실태를 조사하고 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희정 대경이주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이번 화재 참사로 일터의 위험이 이주노동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는 것이 드러났다"며 "불법 파견을 철폐하고 이윤보다 생명이 우선시되는 사회를 만들어 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들 단체는 이날부터 오는 5일까지 대구 중구 CGV한일 앞에서 '아리셀 중대재해참사 희생자 추모 분향소'를 운영하고, 5일 오후 7시 추모제를 진행할 계획이다.

김태강기자 tk11633@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태강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이현덕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