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농수산물유통관리공사가 위치한 북부 농수산물도매시장 전경. <대구 농수산물유통관리공사 제공> |
![]() |
대구 농수산물유통관리공사(이하 공사)가 출범 6개월을 맞았다. 지역 농수산물 유통 구조 개선 및 농·어민 소득 증대를 목표로 출발했다. 지자체 직영체제에서 지방공사로 관리 주체를 옮긴 전국 첫 사례인 만큼 전문성 및 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쏟고 있다. 그간 출범 준비 과정과 성과 그리고 향후 과제를 살펴봤다.
◆규모는 3위, 능력은 16위
공사 설립 필요성이 대두된 배경에는 대구 북부 농수산물도매시장(이하 대구도매시장)이 있다. 1988년 개장한 대구도매시장은 연간 거래액이 1조1천억원에 달한다. 전국 11개 중앙도매시장 중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 이어 둘째 규모를 자랑한다. 전체 공영도매시장(33곳)으로 범위를 넓혀도 3위다.
하지만 대구시 직영체제 특성상 공무원의 잦은 순환으로 전문성, 업무 연속성이 떨어졌다. 관리 부실, 유통 종사자와의 갈등에 따른 기피부서 전락 등 악순환이 반복됐다. 대구도매시장 경쟁력 하락까지 불러왔다. 전국 3위 규모라는 규모에 걸맞지 않게 도매시장 운영평가에선 16위(2022년 말 기준)이다. 노후화된 시장은 재난 대응에도 취약했다. 실제 두 차례 대규모 불이 났다. 2013년 8월 발생한 화재는 피해액이 10억원이었다. 2022년 10월 화재에선 피해액이 24억원에 달했다. 화재 복구비만 142억원이 쓰였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구시는 공사 설립에 나섰다.
유통 효율화 모색
플랫폼 구축 유통단계 축소
생산자 불필요한 홍보 줄여
변동성 낮출 선물거래 고려
시설 업그레이드
2031년 하빈면 일대 이전
저온 경매장·저장고 구축
반입~출고 디지털 관리도
◆지역 농수산물 유통 구조 혁신
공사는 출범 후 지역 농수산물 유통 구조 혁신 및 체계화를 추진하고 있다. 먼저, '온라인'과의 결합을 시도한다. 정부는 지난 5월 유통 비용을 10% 이상 절감 방안 중 하나로 2027년까지 온라인 도매시장 거래 규모를 5조원 수준으로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에 공사는 지역 유통 구조 혁신을 꾀한다.
단순한 온라인 홈페이지 개설에 그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온라인 도매시장을 활성화할 방안 마련에 분주하다. 무엇보다 온라인 도매시장에서도 충분히 만족스러운 거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믿음을 줄 성공사례를 제시하는 게 중요해서다.
현재 포털 등에서 이뤄지는 B2C 온라인 거래는 농어민이 직접 홍보와 판매에 나서고 있다. 단기적으론 농어민, 소비자 모두 이득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길게 보면 활발히 거래하는 소수 농어민만 살아남고 나머지는 불필요한 홍보, 판매일에 시간을 허비하는 비효율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공사는 플랫폼 구축을 통해 농어민이 생산에만 집중하게 하고 유통단계는 줄이려 한다. 장기적으론 '선물 거래' 도입도 계획 중이다. 가격 변동성을 줄일 수 있고, 미래 비용이나 수익을 예측해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착착 추진 중인 도매시장 현대화
오프라인에선 도매시장 현대화 작업을 준비 중이다. 대구도매시장은 2031년까지 달성군 하빈면 대평리 일대로 이전한다. 부지면적이 27만8천26㎡(8만4천평)이고, 건축면적은 15만5천654㎡(4만7천평)에 이른다. 경매동, 수산동, 종합직판·관리동, 상장예외거래동, 온라인물류동, 축산동, 공동집배송동이 들어선다.
신선식품 공급망 강화를 위해 신축 대구도매시장엔 저온 경매장·저장고가 구축된다. 날씨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보관 및 유통이 가능해진다. 유통 기간이 늘어나고, 손실은 줄어 농어민의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전자 송품장 시스템을 도입, 농산물 반입부터 출고까지 디지털시스템으로 관리할 계획도 있다. 실시간 출하물량을 확인해 출하 선택권을 강화하고, 출하물량과 시기 조절을 통해 가격 안정화를 꾀할 수 있다. 이 같은 시스템과 온라인 물류동 등을 결합하면 온라인 플랫폼도 한층 활기를 띨 수 있다. 이 외에도 공동 집배송센터, 선별장 등 여러 시설을 마련할 계획이다. 컴퓨터 비전 AI(인공지능), 자율이동로봇(AMR), AI 선별기 같은 각종 최첨단 기술을 접목한다.
최시웅기자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