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찰이 김건희 여사를 정부 보안청사에서 비공개로 조사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21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의 모습,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최재훈 부장검사)와 형사1부(김승호 부장검사)는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청탁금지법 위반 등 피고발 사건과 관련해 지난 20일 김 여사를 서울중앙지검 관할 내의 정부 보안청사로 소환해 대면조사 했다고 이날 밝혔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20일 비공개 검찰 조사를 받은 것을 두고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다.
이원석 검찰총장이 22일 직접 서울중앙지검의 '제3의 장소 비공개 조사'에 대해 원칙이 지켜지지 않은 일이라며 사과하면서 논란은 더욱 확산되는 모양새다.
야권에서는 서울중앙지검이 김 여사에게 특혜를 줬다는 비판과 함께 심지어 소환 조사하는 장면을 보지 못했으니 '못 믿겠다'는 말까지 나왔다.
민주당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허울뿐인 소환조사는 결국 김건희 여사에게 면죄부를 주려는 시도라는 것을 온 국민이 알고 있다"면서 "검찰 스스로 '법 앞에 인사권자의 가족은 예외'임을 보여줬다"고 지적했다. 또 "경호 안전상의 문제라는 핑계는 애처롭게 느껴지고 검찰총장까지 '패싱'하는 모습에서 오만함과 다급함이 느껴진다"면서 "지금껏 야당 대표를 공개적으로 수차례 소환해 망신 주고 범죄자로 낙인찍으며 여론을 주무르던 검찰의 위세는 진짜 VIP 앞에서 눈 녹듯 사라졌다. 검찰은 용산만을 위해 존재하는 곳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민주당 소속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황제 특혜, 의전 특혜, 비밀 조사 특혜"라며 "이재명 수사 내용이 실시간 중계됐듯이 김건희 수사 내용도 실시간으로 언론에 공개하고 김건희도 공평하게 검찰청사 포토 라인에 세우는 등 공개수사하라"고 요구했다. 양문석 의원은 "정말 조사를 하긴 했나, 조사 관련 사진 하나, 동영상 하나 없다. 못 믿겠다"고 말했다.
진중권 광운대 특임교수는 "호미로 막을 걸 가래로도 못 막아 결국 포클레인을 동원해야 할 대형 사안으로 만드는 습관은 여전히 안 고쳐진 듯하다"며 "검찰이 비공개 소환조사로 의혹만 증폭시켰다"고 지적했다.
이원석 검찰총장은 출근길에 대국민 사과를 했다. 이 총장은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청사로 출근하면서 취재진에 "우리 법 앞에 예외도, 특혜도, 성역도 없다고 말씀드렸으나 대통령 부인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원칙이 지켜지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국민들과 약속을 지키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어 "일선 검찰청에서 어떠한 보고도 받지 못했지만 일선 검찰청을 제대로 이끌지 못한 것도 모두 제 책임"이라며 "국민들께 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김 여사 조사 과정에서 검찰총장이 사실상 '패싱' 당했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일각에서는 이 총장이 사의를 표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검찰 수사팀의 의지와 김 여사의 결단으로 조사가 이뤄졌고 야당이 제기하는 '검찰총장 패싱', '황제조사' 주장은 정치공세라고 맞받았다.
정점식 정책위의장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의혹을 명쾌하게 해소하려는 수사팀의 의지와 영부인의 결단으로 이번 조사가 성사된 것"이라며 "대통령 등 경호법상 영부인은 엄연한 경호 대상이다. 대통령 재임 중 영부인을 조사한 전례가 없었던 만큼 경호 문제가 없는 장소에서 비공개로 조사하는 것은 합당한 조치"라고 반박했다.
또 검찰총장 보고 누락을 '총장 패싱'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데 대해선 "담당 검사가 사전 보고를 할 수 없도록 검찰총장 수사지휘권을 박탈한 전임 문재인 정부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