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는 오래전부터 '우리끼리' 문화가 강해 외지인들에게 폐쇄적인 도시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대구에 산 지 수십 년이 지난 다른 지역 출신을 여전히 대구사람이 아닌 외지인으로 보는 시각은 지금도 많다. 외지인에게 닫혀 있는 대구 분위기는 우수한 인재의 지역 유입뿐 아니라 기업 유치에도 걸림돌이 돼 왔다. 인구 격감으로 외국인 이민까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는 현실까지 감안하면 대구 발전을 위해서라도 '열린 대구'가 돼야 하는 것은 분명하다. 이런 가운데 홍준표 대구시장이 22일 열린 간부회의에서 "오늘 이후 공무원뿐 아니라 산하 기관의 직원 채용 시 지역 제한을 철폐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하반기 채용 예정인 공무원과 산하 공기업 직원 채용부터 '시험일 기준 대구에 거주하거나 과거 3년 이상 대구 거주' 같은 지역 제한 조항은 사라진다. 이번 조치로 다양한 대구로 가는 시발점이 되길 바란다.
하지만 지역 제한 폐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대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 서울시를 제외한 다른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제한 채용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대구만 철폐하면 대구 청년들의 취업 문은 더 좁아진다. 지금까지 대구시 공무원과 산하 공기업만 바라보고 취업 준비를 해 온 지역 청년들에게는 충격적인 소식이다. 지난 16일 채용공고를 낸 대구교통공사가 지역 제한 즉시 철폐 방침에 따라 응시 자격, 채용 일정 등을 변경해 오는 26일 변경 공고할 예정이라고 23일 공지하자, 교통공사 취업 준비를 해오던 대구 청년들이 이미 거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구 출신 지원자에게는 가점을 주거나, 지역 출신 채용 비율을 정하는 등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지역 제한 철폐 같은 큰 변화에는 유예기간도 필요하다.
하지만 지역 제한 폐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대책도 함께 마련돼야 한다. 서울시를 제외한 다른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제한 채용을 유지하는 상황에서, 대구만 철폐하면 대구 청년들의 취업 문은 더 좁아진다. 지금까지 대구시 공무원과 산하 공기업만 바라보고 취업 준비를 해 온 지역 청년들에게는 충격적인 소식이다. 지난 16일 채용공고를 낸 대구교통공사가 지역 제한 즉시 철폐 방침에 따라 응시 자격, 채용 일정 등을 변경해 오는 26일 변경 공고할 예정이라고 23일 공지하자, 교통공사 취업 준비를 해오던 대구 청년들이 이미 거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구 출신 지원자에게는 가점을 주거나, 지역 출신 채용 비율을 정하는 등의 배려가 있어야 한다. 지역 제한 철폐 같은 큰 변화에는 유예기간도 필요하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