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의회 본회의 장면. 영남일보DB |
대구시가 경북도에 합의 시한까지 최후통첩하는 등 막판 힘겨루기가 한창인 가운데 경북도의회에서 주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주민투표를 제안했다.
이형식 도의원(예천)은 27일 열린 도의회 임시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수도권 일극 체제를 막고 인구소멸에 직면한 지방을 살리기 위해 경북과 대구가 행정통합을 한다는 대승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의한다"면서도 "그러나 지금 추진되는 행정통합은 시·도민 없이 두 단체장만의 대화로 2026년 7월 통합자치단체 출범만을 목표로 마치 속도전 하듯 졸속으로 추진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분명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민 의견수렴을 통해 통합의 정당성을 확보해야 하고 이를 위해 주민투표를 실시해 도민 의견이 통합과정에 주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의원은 "도지사와 시장 간 엇박자로 행정력은 낭비되고 있고 결국 도민들은 행정통합이라는 대의보다는 두 단체장의 정치적 전략에 놀아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며 단체장 간 일방적 통합이 결국 무산될 경우 책임론도 제기했다.
특히 홍준표 대구시장의 지난 20일 영상과 26일 대구시 입장문, 이날 페이스북 글을 인용해 홍 시장의 말 바꾸기를 지적했다.
김일수 도의원(구미)도 도정질문에서 "대구·경북 행정통합은 시도민 의견을 제대로 수렴하지 않은 채 번갯불에 콩 볶아 먹듯이 순식간에 후딱 해치워 버릴 사안이 아니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통합 내용과 실익이 무엇인지 학습하고 심도 있는 논의를 통해 시도민의 사회적 합의를 거쳐 행정적·정치적 통합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광역 단위로는 최초의 사례라는 역사적 의미로 보나 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볼 때 500만 시도민의 의사를 물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미래를 결정하는 데 가장 확실한 것은 주민투표"라며 "그러나 시간과 예산이 많이 드는 만큼 공감대가 많이 형성되면 시·도의회에서 결정하거나 여론조사를 통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공감대가 많이 형성되지 않으면 주민 의견을 물어야 한다"고 답했다.
본회의를 주재한 박성만 의장도 행정통합과 관련한 발언을 통해 문제점을 지적했다. 박 의장은 "정치인은 말로써 이 세상 이끌고 가는 것이다. 상대에 대한 예의 없는 언사들 때문에 이해 당사자 입에서 도민들에게 상처를 입힌다"며 "말 한마디는 바위 덩어리보다 무거워야 하고 권력의 쓰임새는 깃털처럼 가벼워야 하는데, 대구시장께서는 말의 한 마디가 깃털처럼 가볍고 권력의 쓰임새는 바위 덩어리처럼 쓰려고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다시 한 번 260만 도민을 대표해 서로에게 상처 주는 언사에 대해 강력하게 경고하는 바이다"라고 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