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있다. 연합뉴스 |
북한이 오는 11월 미국 대선 이후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다는 국가정보원의 전망이 나왔다.
국정원은 26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 7차 핵실험 여부에 대한 질의를 받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인공위성 발사 등 다양한 군사적 도발 수단이 있어서 미국 대선 이전보다는 이후가 될 수 있다"고 보고했다고 정보위 간사인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은 전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플루토늄 약 70㎏, 고농축 우라늄 상당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양은 최소 두 자릿수 이상의 핵무기를 만들 수 있는 양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시설이 위치한 지역에 대해선 강선일 가능성이 크다고 봤지만, "영변의 또 다른 원자로 가동 여부도 계속 감시,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한의 지난 18일 신형전술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는 '정밀 타격 능력을 검증할 목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고중량 탄두 미사일 또는 발사체가 탄착지점에 도달함으로써 대한민국 안보 위협이 증대되고 있다, 상당히 큰 위협으로 인식한다"고 우려했다.
북한과 러시아, 중국 간 관계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우선 북러 관계에는 "상당히 지속적으로 개선, 강화되고 있다"며 "러시아가 북한에 대해 정제유 공급 등 경제적 지원을 하고 있는 것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 북한 무기 제공 등에 대한 보상책으로서의 정찰위성 등 기술 협력을 하는 것에 각별히 우려한다"고 밝혔다. 반면 북중 관계에 대해서는 "많이 악화돼 있다"며 다른 평가를 내놨다. 중국에서 활동하는 북한 외화 벌이꾼에 대한 단속, 교체 과정에서 두 나라 간의 신경전이 크게 오가고 있다는 것이다.
국정원은 북한이 다음 달 7일 열리는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적대적 두 국가론'에 발맞춘 헌법 개정과 추가 입법 조치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서민지기자 mjs858@yeongnam.com

서민지
정경부 서민지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