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 |
최근 집중호우 등 '이상기후'로 내인 폭우로 인해 전국 하천도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하천 쓰레기 피해가 큰 지자체에세 정화 예산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비례)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하천·하구에 쌓인 쓰레기는 8만 8천564 톤으로 집계됐다. 2009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치로, 덤프트럭(25톤 기준) 3천500대 분량이다 .
김위상 의원실에 따르면 하천별로는 한강 하구가 5천811 톤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낙동강(5천609 톤) ▲영산강(4천923 톤) ▲섬진강(3천481 톤) ▲새만금(3천202 톤) 순이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작년에 집중호우가 쏟아진 지역의 하천 쓰레기가 특히 많았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한 해 강수량과 하천 하구 쓰레기 발생량은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보였다. 연도별로는 2019년 1천184 ㎖(2만 8천150 톤 ), 2020년 1천629 ㎖(4만 7천722 톤), 2021년 1천244 ㎖ (4만 4천850 톤), 2022년 1천150 ㎖(4만 3천379 톤), 2023년 1천746 ㎖(8만 8천564 톤)로 비가 많이 올수록 더 많은 육지 쓰레기와 초목이 씻겨 내려갔다.
문제는 지난해 하천 쓰레기는 역대 최대로 발생했지만, 환경부의 정화 예산은 2022년 147억 원에서 올해 124억 원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이에 하구에 쌓인 쓰레기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정부로부터 예산 일부를 지원받아 처리 중(광역 40%, 기초 70%)이다. 김위상 의원은 " 최근 이상기후로 하천 쓰레기가 급증하면서 폐기물이 몰리는 하구 지자체들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며 "환경부는 하천 쓰레기 피해가 큰 지자체라도 정화 예산을 더 지원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라고 지적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