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가 확신시키기 위해 공을 들이는 'ABB' 과학행정 매트릭스<대구시 제공> |
대구가 진정한 'ABB(인공지능·빅데이터·블록체인) 도시'로 거듭난다. ABB와 디지털트윈 등 4대 과학기술을 행정에 도입, 기존 공공서비스를 혁신하고 시민 편의도 증진키로 했다. 나아가 국가차원의 행정혁신도 선도하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는 ABB 과학행정을 위한 △구독형 디지털 서비스로의 전환 △정보자원 플랫폼 공유 및 개방 확대 △오프라인 행정에 온라인 기술 융합 등 3대 혁신 방향을 정했다고 20일 밝혔다.
먼저, 향후 신규 업무 진행시 별도 시스템을 만들기보다 이미 개발된 상용 클라우드 체계와 구독형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도시 설계나 재난 방재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트윈 플랫폼을 직접 개발하는 대신 구독형 방식을 채택해 예산을 절감한다.
지자체 최초로 구축한 '대구체인(블록체인 메인넷)' '다대구' 및 서비스 플랫폼은 대구테크노파크 등 수요기관에 개방한다. 공공자원의 공동 활용 촉진과 상호 협업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보건증, ESG 실적 인증 등 오프라인 행정에 접목 가능한 블록체인 인증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도 확대한다. 대구국제마라톤대회 운영도 온·오프라인 동시 추진하는 등 기술 융합을 시도한다.
이같은 방향성을 토대로 행정혁신·시민행복·미래행복 3개 분야를 중심으로 한 12대 실증 과제도 마련했다.
일단 행정 데이터 기반의 대구시 생성형 AI 모델을 구축한다. 공무원 업무방식을 혁신해 생산성을 높이고, 120 달구벌 콜센터에 '대화형 AI 콜봇'을 도입한다. 버스 노선 개편에 교통카드 연관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방법도 고민 중이다.
블록체인 기반의 시민 체감 서비스는 확대한다. 현재 대구시 블록체인 시민 서비스는 간편인증, 통합 로그인(17종), 민원서비스 (10종), 신분증 서비스 (2종)등이 있다. 앞으론 건강 관련 전자증명부터 공연·전시 티켓 등으로 활용처를 넓힐 계획이다.
노약자·장애인·외국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디지털 배리어 프리(Barrier Free)'도 시도한다. 음성인식 키오스크 개발을 지원해 접근성을 개선한다. 나고 다국어 인식, 사투리 보정, 높낮이 조절 등 편의를 갖춘 형태다.
또한 디지털트윈 기술을 정책 결정과 행정에 적극 적용한다. 폭염 대응 통합관리, 신공항 군부대 후적지 도시설계 등 여러 분야에서 사전 시뮬레이션을 실시한다. 데이터와 과학에 기반한 최적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ABB 과학 행정을 대구시의 각종 공공정책에 적극 도입해 시민 편의를 높이고, 국가적 행정 혁신도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