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5일 '영일만에서 북극까지, 포항! 북극해를 열다'를 주제로 북극항로 거점항만 포럼이 열렸다. <포항시 제공> |
경북 포항 영일만항이 북극항로 거점항만 가능성을 타진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5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는 '영일만에서 북극까지, 포항! 북극해를 열다'를 주제로 북극항로 거점항만 포럼이 열렸다. 경북 유일의 컨테이너 항만인 포항 영일만항의 잠재력을 재조명하고 북극항로 거점항만으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역할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정재·정희용 의원, 포항시, 경북도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기후변화로 북극 해빙(解氷)이 가속화되는 시점에서 북극해 항로는 기존 유럽 동아시아간 항로 대비, 거리는 30%(약 7천㎞), 항해 기준 약 10일 단축할 수 있다. 수송비 절감 등 물류 대전환 시대가 열리는 셈이다.
최근 발생하는 수에즈운하 컨테이너 선박 좌초 사건, 홍해 사태, 이란-팔레스타인 전쟁 등 유럽-아시아 간 기존 간선 항로의 지정학적 위기를 겪으며 대체 항로의 필요성과 국제 운송의 안정성을 추구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 이목은 북극해 항로에 더욱 집중되는 상황이다.
기조 강연을 맡은 하영석 한국해운항만학술단체협의회장은 "북극항로 개설은 기존 아시아와 유럽간의 운송 거리를 30% 이상 단축할 것"이라며 "포항 영일만항은 북극항로의 중요한 거점으로 북극시대 도래에 따라 물류 허브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
김민수 KMI 경제전략연구본부 본부장은 '지속 가능한 북극항로 시대 현황과 전망'을 주제로, 박선율 경북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포항 영일만항을 연계한 북극항로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포항 영일만항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북극항로의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라며 "선도적인 북극항로 시대 준비로 포항 영일만항이 북극항로의 거점항만으로 거듭나 환동해권 경제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전준혁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