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김승수(대구 북구을·사진) 의원이 흩어져 있는 대구지역 고용노동부 산하기관 12곳을 구(舊)지방고용노동청 북부지청 자리로 통합 이전해 운영할 것을 제안했다. 통합 운영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정부 측에서도 건물임대료 등 예산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12일 전체회의를 열고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한 경제부처별 심사를 이틀째 이어갔다. 이날 질의에 나선 김 의원은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을 상대로 북부지청 유휴청사 통합 운영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구 북구 관음동에 위치한 지방고용노동청 북부지청은 1992년에 신축이전한 이후 2021년에 청년ICT 창업성장센터의 운영 중단으로 현재까지 장기간 방치되고 있다. 최근 고용노동부가 도심에 위치한 지청 건물에 기피시설인 재해복구데이터센터 구축사업을 진행하다 주민들의 반대로 재검토하는 것으로 결론이 나기도 했다.
이날 김 장관에게 유휴청사에 대한 활용방안을 질문하던 김 의원은 "고용노동부 직접 사업으로 운영하는 대구지역 기관에 대해 이곳 북부 유휴청사에 이전해 통합 운영한다면 지역 주민들에게는 편리한 행정 공간을 제공하고 주변 지역의 상권에는 모처럼 활력을 불어 넣을 수 있어 1석 2조의 기대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보여진다"고 제안했다.
실제 김 의원실에 따르면 대구지역에 위치한 고용노동부 산하기관 중 6개 공단(재단 등)이 운영하는 12개 기관의 입주방식은 대부분 전세(6곳)와 월세(3곳)로 운영하고 있었다. 건물을 소유한 곳은 산업인력공단 단 1곳에 불과했고 장애인고용공단 2곳은 무상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들 기관은 연간 임대료 등 명목으로 19억6천만원을 지출(임대료+관리비 포함)하고 있었다. 이에 김 의원은 20억원의 예산을 줄이기 위해서라도 유휴청사 통합 이전 운영을 강조한 셈이다.
김 의원은 "이들 산하기관들 중 이전이 가능한 곳을 선정해 이전시켜 통합 운영한다면 높은 임차료 등 예산을 아낄 수 있다"라며 "여기에 지역 상권도 살아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