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경북지역 국회의원과 경북도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힘-경북도 대구경북통합 간담회'가 열렸다. |
경북도가 14일 국회에서 지역 의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국민의힘-경북도 대구경북통합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형수 경북도당 위원장을 비롯해 경북지역 의원들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양금희 경제부지사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최근 대구경북통합에 대한 뜨거운 찬반 여론을 의식한 듯 이날 간담회는 비공개로 진행됐다. 간담회를 마친 후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준비한 (대구경북통합 특례요구)안을 설명 드리고 중앙정부와 협의할 때 국회에서 힘을 보태달라 부탁했다"며 "(참석한 의원들도) 민주당과 지역 내 갈등으로 인해 다음 선거에 영향을 미치지 않겠느냐 이런 걱정들을 많았다"고 밝혔다. 현재 대구경북통합에 대한 지역민과 정치권 우려에 대해 이 지사는 "의원들도 가는 방향은 맞다. 다만 대구 쏠림 현상 등 일부 부작용을 우려했다"며 "지역 균형 발전을 충분히 담아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고 했다. 주민 의견수렴 부족 문제와 주민투표 실시여부에 대해 이 지사는 "지역민 반대가 많으면 주민투표해도 소용없다. 갈등만 생긴다"며 "그래서 충분히 설명한 후에 결정하도록 그래 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경북도당 위원장인 박형수 의원은 "긴 안목으로 볼 때 지방 소멸이란 위기 극복을 위해선 통합으로 가는 방향은 맞다고 본다"면서도 "현실적으로 당장 추진하기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박 의원은 그 이유에 대해 "통합안에 담긴 내용대로 우리가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선 민주당이 가장 어려운 관문"이라며 "특례요구안에 지역 특혜성 조항들이 여럿 담겨 있는데 과연 민주당에서 수용할 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의 권한을 가칭 대구경북특별시로 이양하는 조항이 많은데 다른 시도와의 균형상 정부가 이걸 양보할 수 있겠냐 이런 현실적인 어려움이 굉장히 많을 것 같다는 의견이 나왔다"고 했다. 박 의원은 경북도가 지역사회 및 정치권 등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부족한 점도 아쉬운 대목으로 꼽았다.
249개 특례 조항에 대한 의견도 내놓았다. 박 의원은 "기존 제주·강원·전북 드 특별자치도의 특례 조항이 다 들어 있고, 여기에 우리 지역의 각종 현안 사업에 필요한 특례 조항도 다 넣어놨다"며 "이런 것에 대해 과연 민주당과 정부를 설득해 통과시킬 수 있겠느냐는 의문이 상당히 크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우동기 위원장은 대구경북통합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분명한 입장을 내놓았다. 우 위원장은 "행정통합에 대한 중앙정부의 협조를 얻을 수 있는 시기는 지금이 가장 적절하고 좋은 환경을 갖췄다"며 "이 시기를 놓치면 대구경북통합은 앞으로 정말 요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행정통합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을 위한 필연의 문제이다. 빠르게 추진한다면 (정부로부터) 받을 수 있는 게 더 많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 위원장은 지역 사회의 단합된 노력을 요구했다. 그는 "오는 12월 초 대구경북통합 추진단이 구성되면 중앙부처 간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며 "대구 경북 정치권과 지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국회 문턱을 넘기가 대단히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사진=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임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