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일 오후 대구 중구CGV한일극장앞에서 열린 윤석열 퇴진 대구시민시국대회 참가자들이 윤석열 대통령을 규탄하는 피켓을 들고 있다.이윤호 기자 yoonhohi@yeongnam.com |
비상계엄 사태 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시계'가 급박하게 돌아가면서 대구경북 민심이 또다시 요동치고 있다. 지역출신이 박근혜 대통령 의 '탄핵 트라우마'가 아직도 선명히 남아 있는 지역에선 다시 마주한 대통령 탄핵 국면을 씁쓸하게 지켜보고 있다. 일각에선 대한민국 헌정사에 씻을 수 없는 상흔이 덧나게 되는 상황은 막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감지된다.
지난 4일 오후 더불어민주당 등 야 6당은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국민의힘을 제외한 의원 191명 전원이 탄핵안에 이름을 올렸고, 오는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한 표결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결정을 두고 국민 상당수의 시선은 대체적으로 곱지 않은 모양새다.
특히 리얼미터 조사 결과(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504명 대상) 윤 대통령의 탄핵에 대해 국민의 70% 이상이 찬성할 정도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됐다. 대구경북에서도 윤 대통령의 탄핵을 찬성한다는 비중이 6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여론이 형성되자, 박근혜 정부시절에 조성된 탄핵 정국때 날마다 국민들이 사분오열하며 헐뜯는 모습을 기억하는 대구경북 지역민들도 또다시 만감이 교차했다.
회사원 유모(34)씨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으로 보수가 무너졌는데 보수 정치인들은 정신을 차리기는 커녕 지금의 사태를 또 만들었다. '잘못은 했지만, 탄핵은 안된다'는 국민의힘이나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회사원 김모(53)씨도 "당연히 탄핵당해야 한다. 대통령이라면 무게감이 있어야 하는데 안일하게 생각하고, 즉흥적으로 대응했다"며 꼬집었다. 한 택시운전사(71)는 "야당이 발목을 잡아도 직접 달래야 했다. 예산 문제도 본인이 직접 나서서 국회에 설명하고, 설득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반면, 최모(59)씨는 "탄핵하자는 사람들은 나라가 망하길 바라는 것이냐"며 "윤 대통령이 마음에 들진 않더라도 정말 나라를 생각한다면 지금은 보수우파를 방어해야 할 때"라고 했다.
야당의 이른바 '묻지마 탄핵 남발' 행태에 극도로 피로감을 느낀다는 의견도 적잖았다. 2000년대 국회(16~22대)에 접수된 각종 탄핵안은 총 40건이다. 이중 윤 대통령 임기 중에만 무려 24건에 달하는 탄핵안이 접수됐고, 민주당이 단독 추진한 탄핵안만 19건이다.
김모(79)씨는 "이재명 대표부터 시작해 민주당이 얼마나 나라를 뒤집었는지를 봐라. 나랏일을 제대로 하지도 못하게 방해한 야당이 원인을 제공했다는 것을 절대 잊어선 안된다"고 목청을 높였다. 정모(65)씨는 "대통령이 뽑은 사람을 죄다 반대하고, 직접 밀던 대왕고래 프로젝트 예산도 거의 다 깎는 등 사실상 아무것도 못하게 했다. 얼마나 답답했으면 비상계엄이란 선택지를 빼들었겠나. 참 안타깝다"고 했다.
일각에선 윤 대통령 탄핵 찬성과 민주당 지지를 명확히 구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대학생 김모(22)씨는 "어떤 변명도 위헌적 계엄 선포 명분이 될 수 없다"면서도 "민주당은 (잦은 탄핵 추진으로) 국정, 민주 질서 혼란을 야기했다. 윤 대통령 퇴진을 바라는 목소리가 이재명 대표 또는 민주당 지지로 해석돼선 안 된다"고 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조윤화 수습기자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