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오전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윤석열 대통령 담화를 TV로 보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2일 계엄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탄핵과 수사에 정면 대응할 뜻을 시사했다. 이와 발맞춰 국민의힘은 새 원내대표로 친윤계(친윤석열) 핵심인 권성동 의원을 밀었다. 사실상 여권 주류가 반 탄핵 기조로 진용을 갖추고 항전하는 모양새다. 다만, 이날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윤 대통령의 즉각적인 탄핵을 주장하면서 탄핵에 힘이 실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7일 비상계엄 사과 대국민 담화 이후 닷새 만에 대통령실에 출근한 윤 대통령은 이날 녹화된 대국민 담화를 발표했다.
윤 대통령은 사실상 여권 일각에서 나오는 '자진 사퇴' 요구에 응할 뜻이 없다는 점을 명백하게 밝혔다. 야당을 '국헌(國憲) 문란 세력'이라고 비판한 윤 대통령은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권 행사는 사법심사의 대상이 되지 않는 통치행위"라며 비상계엄의 합법성을 주장했다.
윤 대통령의 담화 발표에 앞서 국민의힘 한 대표는 지난 8일 한덕수 국무총리와 함께 발표한 '질서 있는 퇴진' 플랜을 뒤집었다. 한 대표는 "대통령이 우리 당의 요구와 본인의 일임에 따라 논의 중인 조기 퇴진에 응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 임기 등 문제를 당에 일임하겠다는 대국민 약속을 어긴 것"이라며 탄핵에 찬성할 뜻을 밝혔다.
특히 한 대표는 "다음 표결 때 우리 당 의원들이 회의장에 출석해 소신과 양심에 따라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며 사실상 당론을 거부했다. 당론에 얽매이지 말고 의원들에게 소신껏 투표하라는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해석된다.
한 대표의 메시지의 파장은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상당했다. 이날 국민의힘에서는 윤 대통령 탄핵에 공개 찬성한 의원이 7명으로 늘었다. 탄핵 가결까지 단 1명만 남은 상황으로, 지난 1차 탄핵안 표결 당시 정했던 '반대' 당론은 깨진 모습이다. 실제 이날 본회의에서는 당에서 부결을 당론으로 정했지만, 내란 특검법, 김건희 여사 특검법 표결 과정에서 국민의힘 이탈표가 발생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내란 범죄 행위는 결코 통치 행위가 될 수도 없다"며 탄핵 가결에 힘을 실었다. 그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 대해 "윤 대통령을 왜 직무에서 즉각 배제해야 하는지, 또 왜 집권을 중지해야 되는지를 너무나 명징하게 보여줬다"고 비판했다. 또 "내란 범죄 행위는 누구도 할 수 없는 것이고, 아무리 (야당을) 미워한들 결코 통치 행위가 될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국민의힘 한 대표와 민주당 이 대표가 뜻을 함께하고, 친윤계를 중심으로 이에 반발하는 모양새를 보이면서 탄핵 정국은 여당의 분열 속에 가결 쪽으로 가닥이 잡혀가고 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