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의원총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와 친윤계 의원들이 12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 담화를 두고 의원총회에서 정면으로 충돌했다. 한 대표는 이날 신임 원내대표 선출을 위해 소집된 의원총회 자리에서 윤 대통령 담화에 대해 사실상 내란을 자백한 것으로 보고 탄핵에 찬성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대통령이 녹화로 준비한 것으로 보이는 대국민담화를 했다. 저는 이런 담화가 이뤄진다는 사실 자체를 사전에 전혀 들은 바가 없다"며 "(담화의) 내용은 지금의 상황을 반성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합리화하고 사실상 내란을 자백하는 취지의 내용"이라고 말했다.
그러자 좌중에서는 "무슨 말을 하는 건가" "그만하고 내려오라" "사퇴하라" 등 고성이 친윤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터져 나왔다. 대통령실 출신인 강명구 의원은 자리에서 일어나 "(대통령이) 무엇을 자백했다는 말인가"라고 따졌고, 임종득 의원 등은 한 대표에게 연단에서 내려올 것을 요구하며 언성을 높이며 삿대질을 하기도 했다.
이상휘 의원은 자리에서 일어나 "국민의힘이 새로 발전된 길을 가기 위한 원내대표 선거를 하는 자리"라며 "의원들이 다들 담화를 들었고 각자 가진 생각이 많다. 대표는 여기에서 주관적인 입장을 말하면 안 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이철규 의원은 "수사 결과도 발표되지 않았고 또 재판이 진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내란죄라고 단정하는 것은 서두른 감이 있다"며 "대표의 말은 당의 이야기가 된다. 적어도 의총에서 의원들과 한마디 상의를 하고 그런 결정이나 발표를 하는 것이 민주적 절차에 맞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후 한 대표는 "민주주의의 관점에서도 용납하지 못할 만한 대통령 담화가 나왔기 때문에 대통령의 직무를 조속히, 합법적으로 정지시키는 데 우리 당이 나서야 한다는 말을 당 대표로서 한 것"이라며 재차 강조한 뒤 연단을 내려갔다.
의총 이후에도 설전은 이어졌다. 친한계인 조경태 의원은 "대통령이라는 사람이 일말의 양심이라도 있으면 지금이라도 즉각적으로 내려와야 한다"며 "이제 윤석열 씨라고 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윤상현 의원은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배경을 설명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란죄로 몰아가는 것에 대해서 '억울하다'고 항변한 것 같다"면서 "지금 당장 출당시키는 것은 한마디로 배신의 정치다. 출당·제명을 시키는 순간 '배신의 정치'의 아이콘이 될 것"이라고 한 대표를 비판했다.
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

권혁준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