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시의 기준은 수능 점수가 가장 큰 요소로 작용한다. 최상위권부터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으로 구분된 점수대별 정시 지원 전략에 대해 알아본다.
◆최상위권= 최상위권 점수대는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상위권 학과 및 의·약학계열에 지원 가능한 점수대다. 올해에도 자연계 최상위권 학생들은 의·약학계열 지원자가 많겠지만 서울대가 첨단융합학부를 도입하면서 의·약학계열을 제외한 자연계 인기 학과들의 모집 규모가 확대돼 자연계 최상위권 수험생들이 많이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 소재 대학들은 주로 가군과 나군에 많이 몰려 있어 사실상 2번의 지원 기회가 있다고 여기고 신중히 지원해야 된다. 최상위권의 경우 합격선 근처에서는 점수 차가 매우 좁고 세밀하게 펼쳐진다. 그래서 대학별 수능 반영영역 및 반영비율에 따른 환산점수, 학생부 성적 등 모든 변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위권=상위권 점수대는 서울 소재 상위 대학의 인기 모집 단위, 지방 국립대 상위권 모집 단위 등에 지원 가능한 점수를 의미한다. 성균관대, 서강대, 한양대, 이화여대, 서울시립대 등 주요 대학이 일부 모집 단위를 다군에서 선발을 실시한다. 이로 인해 과거에 비해 상위권이 지원을 고려할 만한 다군 대학 및 모집 단위가 늘어났다. 단, 여전히 가·나군에 비하면 다군 규모 자체가 크지 않고 모집 단위도 한정돼 있어 가군, 나군 중 1개 대학은 합격할 수 있도록 전략을 짠 뒤 나머지 군의 대학에 소신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상위권과 마찬가지로 각 대학의 수능 성적 반영방법 및 반영비율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특히 이 점수대 자연계열은 수학·과탐 가산점에 따른 환산점수 변화, 인문 교차지원 시 상향 합격 가능성을 두루 고려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중위권=중위권 점수대는 가·나·다군 모두 복수 지원이 가능한 점수대인데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몰려있는 점수대이고 경쟁이 치열하다. 수능 점수는 어떤 조합을 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지를 잘 확인해 3번의 복수 지원 기회를 잘 활용해야 한다. 상위권에서 하향 지원을 하게 되면 이 점수대에서 합격선이 올라갈 수도 있다. 수능은 4과목을 주로 반영하지만 3과목을 반영할 경우 합격 가능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잘 확인해 보아야 한다.
◆하위권=하위권 점수대는 지방 소재 대학에 지원 가능한 점수대로서 가·나·다군의 복수 지원이 실질적으로 가능한 점수대다. 2개 대학 정도는 본인의 적성을 고려해 합격 위주의 선택을 하고, 나머지 1개 대학은 소신 지원하는 것이 좋다. 중위권 수험생들이 합격 위주의 하향 지원을 하면 이 점수대는 인기 학과를 중심으로 합격선이 올라갈 수 있다. 전공에 따라서 전문대학을 지망해 보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
▨도움말=송원학원 진학실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