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정시 변수는 '탐구영역'…가산점 부여 대학 체크해야

  • 김종윤
  • |
  • 입력 2024-12-23  |  수정 2024-12-23 07:55  |  발행일 2024-12-23 제11면
가산점 부여 방식도 검토

백분위 변환표준점수 확인

2025학년도 수능의 가장 큰 특징은 '통합 수능 시행 이후 사·과탐 혼합 응시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는 점이다. 하지만 2025학년도 정시 모집에서는 계열별·모집 단위별 탐구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이 크게 증가해 이를 고려한 지원 전략 구상이 필요하다. 탐구 가산점 반영 대학 증가에 따른 입시 전략을 살펴본다.

대입정시 변수는 탐구영역…가산점 부여 대학 체크해야

◆응시 지정 영역 폐지…가산점 반영 대학 증가

2025학년도 정시 모집부터 수도권 주요 대학 19개 대학이 수능 탐구 응시 지정 과목을 폐지했다. 일반적으로 과목당 3~10% 가산점을 부여하는 대학이 많다. 서울시립대의 경우 사탐 2과목 모두 선택한 인문계열 지원자에게만 3% 가산점을 부여하고, 마찬가지로 과탐 2과목 모두 선택한 자연계열 지원자에게만 7% 가산점을 부여한다. 탐구 영역의 영향력이 높은 2025학년도 정시에서는 가산점으로 인한 소수점 차이로 합불이 결정될 수 있으므로 계열 및 모집 단위에 따른 가산점 여부를 꼼꼼히 살펴봐야 한다.

◆가산점 유불리 발생…대학별 환산 점수 검토

탐구영역은 영역·과목별로 당해 연도 수능 난이도 및 응시자 집단의 수준이 달라 원점수와 백분위에서도 표준점수가 다르게 나타나 과목별 유불리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정시 모집은 대학별 환산 점수 0.5점, 0.01점에 따라 합격의 당락이 바뀔 수 있어 희망 대학 및 모집 단위의 가산점 여부와 부여 방식까지 검토해야 한다. 이때 반드시 대학별 환산 점수를 기준으로 지원 전략을 구성해야 한다.

◆변환표준점수 확인 필요

응시한 탐구 과목의 난도가 높아 다른 선택과목에 비해 표준점수가 높게 나타난다면, 수능 성적표에 기재된 표준점수(단순표준점수)를 그대로 반영하는 대학에 지원해야 유리하다. 그러나 단순표준점수를 반영하는 대학이 많지 않기 때문에 변환표준점수 혹은 백분위를 활용하는 대학에 지원할 것을 고려해 높은 백분위를 얻을 수 있는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변환표준점수에는 그 대학의 의지가 다소 개입된다.

각 백분위 변환표준점수 차이는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백분위에 따른 변환표준점수 차이가 어느 정도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연세대의 2025학년도 탐구 변환표준점수는 백분위 100과 99의 차이가 1.22점으로 큰 편이기 때문에 백분위 100이 없는 선택과목에 응시한 학생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대다수 수험생이 목표로 하는 주요 대학은 대체로 탐구 반영 지표로 변환표준점수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수능 응시 지정 영역 폐지로 계열별 선택과목 제한이 사라진 상황에서 변환표준점수에 따른 유불리 합격의 당락을 결정지을 수 있으므로, 이를 잘 살펴 정시 지원 전략을 구상해야 한다.

김종윤기자 bell08@yeongnam.com
도움말=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기자 이미지

김종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