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식·채권 시장 외국인 투자자금 추이. <한국은행 제공> |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지난해 12월 한국 주식·채권시장에서 코로나19 이후 최대 규모인 5조7천억원에 달하는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5일 발표한 '국제금융·외환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외국인의 국내 증권 투자자금의 순유출 규모는 38억6천만달러다. 지난달 말 원·달러 환율(1천472.5원)을 기준으로 약 5조6천839억원이다. 이는 코로나19 당시인 2020년 3월 순유출(73억7천만 달러) 이후 가장 큰 규모다.
지난해 12월 외국인 주식자금은 25억8천만달러가 순유출됐다. 같은 해 8월(-18억5천만 달러), 9월(-55억7천만 달러), 10월(-41억7천만 달러) 11월(-29억5천만 달러) 등에 이어 5개월 연속 순 유출을 기록했다.
한은은 "국내 반도체 기업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지속되는 가운데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글로벌 금리 인하 지연 우려 등으로 주식자금 순유출이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같은 달 외국인 채권자금도 12억8천만 달러 순유출됐다. 같은 해 11월까지 8억1천만 달러 순유입을 나타내다가 순유출로 전환됐다. 연말을 앞두고 외국인 투자가 둔화 된 가운데, 국고채 만기상환, 낮은 차익거래 유인 지속 등으로 순유출로 전환됐다는 게 한은의 분석이다.
한국 국채(외국환평형기금채 5년물 기준)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지난해 12월 전월(34)보다 2bp 높아진 월평균 36bp(1bp=0.01%포인트)로 집계됐다. CDS 프리미엄은 채권을 발행한 국가 또는 기업이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파생상품이다. 부도 위험이 커지면 CDS 프리미엄이 오르게 된다.
한은은 "계엄 및 탄핵 사태 등으로 12월에 빠져나간 외국인 투자자금이 5조7천억원에 달하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통화 긴축기인 2022년 10~11월(59bp),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사태가 있었던 2023년 3월(43bp) 등 과거 주요 리스크 확대기와 비교하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