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마은혁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이 위헌인지 여부를 헌법재판소가 3일 직접 결정한다. 연합뉴스 |
여야가 마은혁 헌법재판관 후보자에 대한 임명보류 권한쟁의 심판을 하루 앞둔 2일 신경전을 벌이며 대립했다. 3일 헌법재판소가 최상목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이 위헌인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앞서 여야 모두 헌재에 대한 압박 강도를 높이기 위한 취지로 읽힌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헌재가 위헌적인 권한쟁의심판을 인용하더라도, 최 권한대행은 마 후보자 임명을 거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헌법 111조에 헌법재판관은 국회에서 선출하는 자를 대통령이 '임명해야 한다'가 아니라 '임명한다'고 돼 있다"며 "야당이나 헌재가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헌법을 뛰어넘는 임명을 강요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여당 법률위원장인 주진우 의원은 이날 오전 SNS에 "좌파 정치 이념으로 판결에까지 영향을 미쳤던 마은혁 판사를 헌법재판관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했다. 당내 중진들도 목소리를 높였다. 김기현 의원은 이날 SNS에 "마 후보자는 1980년대 인민노련 활동,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신봉한 자로 알려졌다. 1991년 인민노련의 한국노동당 창당 시도 당시 참여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법조인 출신인 국민의힘 우재준(대구 북구갑) 의원은 헌재의 속도전에 의문을 제기했다. 설 연휴 사건 심리 기간에 대해 전수조사(10년치)를 했다고 밝힌 그는 이번 사건은 본안에서 정식으로 심리가 진행된 사건 중 가장 빠른 결정이라고 의문을 제기했다. 우 의원은 "헌재는 사건 중요도에 따라 심리순서를 변경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헌재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사건을 마은혁 재판관 임명 사건이라 보는 것 같은데, 어떤 국민이 이에 동의할지 의문"이라며 "헌법재판소의 권위가 실추되는 것은 대한민국의 비극이다. 정치권을 탓하기 전에 헌재 스스로 되돌아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맞서 더불어민주당 김윤덕 사무총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내일 사법부는 최 권한 대행의 헌정 파괴 행태에 제동을 걸어야 한다"며 "선택적 헌법재판관 임명에 대한 단호한 판결로 헌법과 법률에 명시된 절차가 지켜지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만일 내일 헌재에서 권한쟁의 심판 인용 결과가 나와도 최 대행이 임명을 보류할 수도 있지 않냐는 질문에 "(만일 인용 결론이 나오면) 최 대행이 헌재의 결정을 거부할 명분과 이유가 전혀 없다"며 "최 대행은 헌재의 결정을 수용할 것이고 또 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3일 오후 2시 최 권한대행이 마 후보자를 임명하지 않은 것이 위헌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내릴 예정이다. 헌재 결정에 따라 마 후보자가 임명될 경우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은 '9인 체제'로 진행될 수 있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