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원식 국회의장이 지난달 국회 본회의를 속개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2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이번달 임시국회 일정을 합의했다. 첫 일정으로 3일 임시국회 개원식을 진행한다. 이후 오는 10~11일 교섭단체 대표연설, 12~14일 대정부질문을 각각 실시한다. 첫째 날에는 정치·외교·안보·통일 분야, 둘째 날에는 경제, 마지막 날에는 교육·사회·문화 분야에 대한 대정부질문이 이어진다.
특히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여야 모두 이번 2월 임시 국회에서 중도층을 겨냥한 '민생' '실용'을 선점하기 위해 총력전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등 당 지도부는 오는 5일 'AI 시대 안전한 전력망 확충'을 주제로 현장 간담회를 개최하고 권성동 원내대표도 다음 달 '민생대책 점검 당정협의회'를 갖는다. 당정이 단합된 모습으로 민생 위주의 정책을 펼치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도 민생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이재명 대표는 지난달 31일 정부나 여당이 민생지원금 때문에 추가경정예산을 못 하겠다고 하면, 민생지원금 추진을 포기하겠다는 입장까지 밝히는 등 민생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이 대표는 3일에는 반도체 특별법 토론회를 주재한다. 반도체 산업 종사자의 주 52시간 상한제 적용에 예외를 두는 내용으로, 지난해 12월 반도체 수출 실적이 크게 악화한 점을 고려한 행보다.
한편 이번 임시국회의 핵심 쟁점 중 하나는 반도체특별법이 될 전망이다. 반도체특별법이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여파로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여야 모두 반도체특별법 처리의 시급성엔 공감하고 있는 만큼 논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있다. 현재 여당은 노사 합의를 전제로 반도체 연구개발(R&D) 인력을 주 52시간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지만, 야당은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가 허용되면 다른 산업계에서도 불필요하게 근로시간 유연화가 번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다만 민주당 이 대표가 반도체특별법 토론회를 개최 후 당내 총의를 모을 예정이어서 여야 협상에 탄력이 붙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