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출처-게티이미지뱅크 |
지난달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이 환율 방어 등에 사용되면서 한 달 사이 45억9천만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 불확실성 확대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자 외환당국이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를 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2025년 1월말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 달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천110억1천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말보다 45억9천만달러 감소한 규모다.
전체 외환보유액 규모는 2020년 6월(4천107억달러) 이후 4년 7개월 만에 가장 작았다. 월간 감소 폭은 지난해 4월(-59억9천만달러)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컸다.
한은 관계자는 "분기말 효과 소멸로 인한 금융기관의 외화예수금 감소, 국민연금과의 외환 스와프 확대, 외환시장 변동성 완화 조치 등에 따라 외환보유액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외환 스와프와 관련해선 "스와프 거래 기간 외환보유액이 거래금액만큼 줄어들지만, 만기 시 자금이 전액 환원되기 때문에 외환보유액 감소는 일시적"이라고 덧붙였다.
자산별로 보면, 국채, 회사채 등 유가증권이 3천620억2천만달러로 46억5천만달러 줄어 가장 감소폭이 컸다. 예치금은 252억9천만달러로 7천만달러 늘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SDR)은 147억2천만달러로 전월과 같았다. 매입 당시 가격으로 표시하는 금도 전월과 같은 47억9천만달러였다.
한국의 외환보유액 규모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4천156억달러) 세계 9위 수준이었다. 중국이 3조2천24억달러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일본(1조2천307억달러)과 스위스(9천94억달러), 인도(6천357억달러), 러시아(6천91억달러), 대만(5천767억달러), 사우디아라비아(4천366억달러), 홍콩(4천215억달러) 순이었다. 10위는 독일로, 3천779억달러였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