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연합뉴스 |
![]() |
한은 금통위는 다음 통화정책 방향 결정 시까지 기준금리를 2.75%로 하향 조정해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했다고 이날 밝혔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인하 배경에 관해 "외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 상승률 안정세와 가계 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해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했다.
같은 날 한국은행은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정부 출범 후 관세정책과 비상계엄 이후 국내 정치 불확실성 등을 반영해 올해 성장률 전망을 1.9%에서 1.5%로 큰 폭으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전망보다 0.4%포인트 낮은 것이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1.8%로 유지해 저성장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를 내리고 시중에 돈을 풀어 민간 소비·투자 등 내수 부양이라도 해야 한국 경제의 저성장 흐름을 어느 정도 늦출 수 있다고 본 것으로 풀이된다. 추가경정예산 편성이 불투명한 가운데 우선 통화정책으로 경기 부양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만,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관세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금리 인하를 주저하는 상황에 한은만 계속 금리를 내리면,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미국과 금리 격차가 벌어지면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가고, 원화 가치가 떨어져 원·달러 환율이 오를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환율 상승으로 수입물가가 오르면 국내 인플레이션 압력도 커질 수 밖에 없다. 이날 기준금리 인하로 미국(4.25∼4.50%)과 금리 차이는 1.50%포인트(p)에서 1.75%p로 다시 확대됐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금통위 회의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1.5% 성장에 금리 하락은 반영돼 있고, 1.5% 이상의 성장률이 필요하다면 재정정책과의 공조가 당연히 필요한 상황"이라며 "재정정책이 없다고 해서 금리를 저희 예상보다 더 낮추면 환율, 물가, 가계 부채 등에 영향을 줘 금융안정 기조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