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 활동 종료일인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전체회의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이 증인 고발조치와 결과보고서 채택 의결을 앞두고 퇴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특별위원회(내란 국조특위)가 증인 고발 명단을 두고 공방을 벌이다 파행했다.
내란 국조특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28일 오전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불출석 및 동행명령 거부' 증인에 대한 고발 건을 상정하고 토론을 진행했다. 명단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여인형 전 방첩 사령관, 조태용 국정원장 등이 포함됐다.
국민의힘에서는 불출석한 증인 대부분이 수감 중이거나 재판을 앞두고 있어 출석이 불가능하다며 현직 대통령 '망신 주기'라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증인들이 출석을 고의로 거부했으며 국회의 조사 권한을 무시하는 행위라고 맞받았다.
국민의힘 한기호 의원은 “고발 대상자들은 동행명령이 나기 전에 전부 다 불출석 사유서를 냈다"며 “그럼에도 매번 동행명령을 활용했고 여당 위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는데 이제 또 고발까지 해야 하냐"고 질타했다. 이어 “대통령은 헌재에 가서 심리도 받고 검찰 조사도 받았는데 또 국회 국정조사에 응하지 않았다고 고발한다는 건 지나치다"고 덧붙였다.
이에 맞서 기본소득당 용혜인 의원은 “증인들이 수사 기관에선 증언하면서 국회에 불출석하거나 위증하며 국회를 무시하는 행태가 반복됐다"며 “윤 대통령은 국회에 출석해 국민 앞에 증언할 의무가 있다"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공방 뒤 전원 퇴장했다.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