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요 시중은행의 예대금리차가 2년 반만에 가장 큰 폭으로 커졌다. 2일 서울 시내에 설치된 은행 ATM 기기. 연합뉴스 |
금리 하락기에 접어들었음에도 주요 시중은행의 이익 기반인 예대금리차(대출금리와 예금금리 간 격차)가 길게는 2년 반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벌어졌다.
3일 은행연합회 소비자 포털 공시에 따르면, 지난 1월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실제 취급된 가계대출의 예대금리차(정책 서민 금융 제외)는 1.29∼1.46%포인트(p)로 집계됐다. 은행별로는 NH농협의 예대금리차가 1.46%p로 가장 컸고, 이어 신한(1.42%p)·하나(1.37%p)·우리(1.34%p)·KB국민(1.29%p) 순이었다.
전체 19개 은행 중에서는 전북은행의 1월 예대금리차가 5.33%p로 1위였다. 2∼4위의 한국씨티은행(2.61%p)·토스뱅크(2.43%p)·광주은행(2.08%p)·BNK부산은행(1.98%p)도 2%p 안팎에 이르렀다.대구에 본사를 둔 iM뱅크의 1월 예대금리차도 1.48%p로, 전월(1.09%p)보다 확대됐다.
예대금리차가 확대된 건 일반적인 금리 하락기와 비교해 금리 반영 흐름이 달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인한 시장금리 하락기에는 일반적으로 대출금리가 예금금리가 하락하는 속도가 빨라 예대금리차가 줄어든다. 하지만 은행들의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8월 이후 지난 1월까지 대체로 계속 커지는 추세였다. 지난해 3분기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담보 대출이 급증해 금융당국이 대출 수요 억제를 주문하면서 은행권은 그해 8월부터 가산금리 인상을 통해 대출금리를 여러 차례 올렸다.
특히 하나은행의 1월 예대금리차(1.37%p)는 공시를 시작한 2022년 7월 이래 가장 컸다. 신한은행(1.42%p)도 공시 자료 발표 첫 달인 2022년 7월(1.46%p)을 제외하면 2년 6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우리은행(1.34%p)과 KB국민은행(1.29%p)의 경우 모두 2023년 2월(1.46%p·1.48%p) 이래 1년 11개월 만에 예대금리 격차가 가장 크게 벌어졌다. NH농협은행(1.46%p)도 2024년 1월(1.50%p) 이후 최대다.
지난달 25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은행의 3%대 정기예금(1년 만기 기준) 금리가 더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만큼, 예대금리차가 앞으로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말 신한은행 '쏠편한 정기예금'(2.95%), KB국민은행의 'KB스타 정기예금'(2.95%), 하나은행 '하나의 정기예금'(2.95%)이 2%대에 진입했다. 이에 따라 시장금리가 추세적으로 반등하지 않는 한 이번 주 NH농협은행을 제외한 4대 은행의 대표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의 금리가 모두 2%대로 내려앉을 가능성이 크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