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4일 오전 경북도의회 기자실에서 박용선 도의원이 언론브리핑을 통해 수도권 중심의 전력 불공정 구조를 지적하고 있다. |
경북도의회 박용선 도의원이 '분산 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따른 특화단지 신청을 앞두고 경북도의 치밀한 전략과 대응을 촉구했다.
박 도의원은 4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전력 생산은 경북이, 혜택은 수도권이 가져가는 불공정한 구조를 이제는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북은 국내 가동 원전 26기 중 13기를 보유하고 있고, 연간 전력 생산량은 94.6TWh로 전국 최대 수준이다. 하지만 도내 소비량은 43.8TWh에 불과해 절반 이상의 전력이 수도권으로 송전되고 있다는 것이다.
박 도의원은 "분산 에너지 활성화는 단순한 에너지 정책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짓는 생존 전략"이라며 "지역 경제의 붕괴를 막을 마지막 기회"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러면서 "경북이 생산한 전력으로 수도권은 값싼 전기를 공급받고 있지만, 정작 도내 기업들은 수도권과 같은 높은 전기요금을 부담하며 생존을 위협받고 있다"며 불합리한 구조를 지적했다.
포항 철강산업을 비롯한 경북의 주요 산업들은 중국의 저가공세와 원자재 가격 상승, 전력 요금 부담까지 겹치면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다. 현재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전력 도매가격 격차는 평균 19~34원/kWh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방의 산업단지들은 수도권과 같은 전기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박 도의원은 "전력 소비가 많은 수도권은 더 높은 요금을 내고, 전력 생산지인 지방은 저렴한 전기요금을 적용받기 위해선 산업용 전기요금 결정 권한을 중앙정부가 아닌 광역자치단체에 넘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북이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으로 지정되고, 산업용 전기요금을 광역지자체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도의원은 "지방이 수도권의 결정을 기다리는 시대는 끝났다. 모든 혜택은 수도권으로 가고, 피해는 지방이 떠안는 불공정한 구조를 끝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글·사진=피재윤기자 ssanaei@yeongnam.com

피재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