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이 대구 제2작전사령부 앞을 지나가고 있다. 영남일보DB |
![]() |
'군위 스카이시티' 조감도. 대구시 제공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결과가 이번 주 중 나올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지역 현안사업들이 '정치적 외풍'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9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경북신공항 건설과 대구 군부대 이전 사업은 이달 초 핵심적인 사전 절차를 마무리짓고 본격 추진을 앞둔 상태다. 공교롭게도 두 프로젝트는 2030년 개항 및 이전 완료를 목표로 한다.
지역 백년대계를 담보할 신공항 건설 사업 경우 지난 1월 국방부가 '대구 군공항(K2) 이전 사업계획'을 승인해 관보에 고시되면서 사업이 본궤도에 올랐다.
사업계획 승인은 신공항 건설의 본격적 시작을 알리는 상징적 의미가 크다. 대구시는 군공항 이전사업의 구체적인 토대가 마련돼 본격적인 실행 단계에 돌입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현재 신공항 건설 재원 확보와 착공 준비에 집중하고 있다.
군부대 이전 사업도 지난 5일 최종 이전지를 군위로 선정하며 사업의 본격 추진을 위한 사전 절차를 완료했다. 이전 대상 군부대는 제2작전사령부·제50사단사령부·제5군수지원사령부(이상 육군)·제1미사일방어여단·방공포병학교(이상 공군) 등 5개 부대다.
군부대 이전지가 최종 확정됨에 따라 대구시는 향후 국방부·기획재정부 등과 협의를 통해 남은 절차에도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군부대 이전 사업은 '대구 의료클러스터' 조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군위로 옮겨가는 제2작전사령부 후적지에 조성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2개 사업의 순항 여부가 혼란스럽고 예측이 힘든 정치적 상황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란 점이다. 윤 대통령 탄핵선고 결과가 그 중심에 있다.
대구지역 관가에선 당면한 현안과 향후 정국과의 연관성에 대해 엇갈린 관측을 내놓고 있다.
먼저 중앙정부의 협조와 지원이 필요한 대형 사업의 경우 자칫 정치적 혼란에 의해 사업이 표류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통상 정국이 혼란할 때는 정부 부처가 소극적 자세를 견지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정치적 협상도 동력을 잃을 수 있다.
반면 정치와 지역현안은 분리해서 봐야 한다는 시각도 있다. 대구 관가 한 관계자는 "정국 혼란으로 인해 지역 현안사업의 일시적 일정 변화 등이 있을 순 있지만 사업의 추진 명분과 적합성이 분명하다면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