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의 숙고가 길어지고 탄핵 찬반 시위대의 대립이 격화하면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후 불복 폭력 사태가 발생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8년 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선고 후 헌재 앞 폭력 사태로 4명이 사망하고 많은 시민이 다쳤다. 탄핵 선고가 임박하면서 이미 폭력 사태 조짐이 보인다. 20일 민주당의 대통령 파면 촉구 기자회견 중 의원들이 시민이 던진 계란에 얼굴을 맞고 허벅지에 발길질을 당했다. 탄핵 찬반 갈등이 폭력행위로 이어진 것이다. 일부 보수성향 지지자들은 탄핵 인용시 폭력사태를 예고하는 등 극단적 발언도 나온다.
지금 분위기라면 어떤 결정이 나와도 이에 불복하는 폭력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때 서울서부지법 폭동처럼 대한민국이 또다시 무법천지가 될지 모른다. 혹여 발생할 불상사를 대비해 정부는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을 밝힌 만큼 경찰과 시위대의 물리적 출동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폭력 사태에 대한 우려가 정치권에서도 나오지만, 여야 모두 이를 자제시키기는커녕 부추기는 모양새다. "헌재를 때려 부숴야 한다" "무도한 종북좌파 세력 처단하라" 등 극언을 서슴지 않는 국민의힘이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직무유기 현행범으로 체포될 수 있으니 몸조심하라"고 막말하는 더불어민주당이나 똑같다. 폭력을 선동하고 국론을 분열하는 말로 들린다. 폭력 사태를 막기 위해선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한다. 여야 모두 탄핵 심판 결과에 승복하겠다고 했으니 헌재의 결정을 차분히 지켜보도록 지지자를 자제시켜야 한다. 어떤 결과라도 승복하도록 설득해야 한다. 만일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다면 그 책임은 결국 정치권으로 돌아온다.
지금 분위기라면 어떤 결정이 나와도 이에 불복하는 폭력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윤 대통령 구속영장 발부 때 서울서부지법 폭동처럼 대한민국이 또다시 무법천지가 될지 모른다. 혹여 발생할 불상사를 대비해 정부는 불법행위에 대해 엄정 대응을 밝힌 만큼 경찰과 시위대의 물리적 출동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폭력 사태에 대한 우려가 정치권에서도 나오지만, 여야 모두 이를 자제시키기는커녕 부추기는 모양새다. "헌재를 때려 부숴야 한다" "무도한 종북좌파 세력 처단하라" 등 극언을 서슴지 않는 국민의힘이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직무유기 현행범으로 체포될 수 있으니 몸조심하라"고 막말하는 더불어민주당이나 똑같다. 폭력을 선동하고 국론을 분열하는 말로 들린다. 폭력 사태를 막기 위해선 정치권이 적극 나서야 한다. 여야 모두 탄핵 심판 결과에 승복하겠다고 했으니 헌재의 결정을 차분히 지켜보도록 지지자를 자제시켜야 한다. 어떤 결과라도 승복하도록 설득해야 한다. 만일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한다면 그 책임은 결국 정치권으로 돌아온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