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북에 집중되는 봄철 재난, 산불 대응체계 대전환 시급

  • 논설실
  • |
  • 입력 2025-03-31  |  수정 2025-03-31 07:13  |  발행일 2025-03-31 제23면
지난 22일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1주일 동안 확산돼 경북 북부지역을 초토화시켰다. 5개 시·군에 걸친 산불영향구역이 무려 4만5천여㏊로, 서울 면적의 약 80%에 달한다. 30일 현재 사망자만 26명에 달하는 등 인명·재산 피해가 너무 크다. 불과 3년 전 경북 울진 산불의 악몽이 채 가시기도 전에 또다시 역대 최악의 산불이 덮쳤으니 주민들은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다. 이번뿐만 아니라 봄철 산불은 경북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 30년간 산불피해 1위 지역이다. 유독 경북이 산불에 취약한 원인을 파악해 제대로 된 대응 체계를 세워야 한다.

의성 산불은 입산자 실화가 직접적 원인으로 드러났지만 근본적으로는 봄철 고온과 건조한 대기가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전국 곳곳에서 산불이 동시 다발로 발생한 이유다. 특히 최대 초속 25m가 넘는 강풍은 예측 불가능한 빠른 속도로 피해를 키웠다. 이는 기후변화로 인한 새로운 유형의 대형 산불이 일상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우리의 산불 대응 시스템은 여전히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산불 초기 진화를 위한 인력과 장비가 턱없이 부족하다. 경북도와 산림당국이 추진하는 초대형 소방헬기 도입이 가장 시급한 과제다. 이와 함께 드론, 로봇 등 야간 산불 진화를 위한 첨단 장비도 반드시 필요하다.

국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한 산불 대응 체계의 대전환이 요구된다. 경북도를 비롯한 지자체 노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정부와 정치권의 적극적 관심과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 예전처럼 예산타령만 하며 시간을 허비해선 안 된다. 산불이 대형화·장기화되는 만큼 하루빨리 선진국 수준의 산불 예방·진화체계를 갖춰야 한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