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비에 발목' 영일만대교 건설 하세월

  • 전준혁
  • |
  • 입력 2025-04-02  |  수정 2025-04-02 08:20  |  발행일 2025-04-02 제13면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 이후2년째 제자리 노선도 확정못해

비용절감 제안에 정부 고민만

건설 무효화 포석 의혹 제기도
포항을 넘어 경북 동해안 지역의 숙원 사업인 영일만대교 건설이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며 18년째 표류하고 있다. 지난해 반영된 관련 예산 1천350억원이 '마중물'이 될 것이란 추측과는 다르게 협의에만 1년을 넘게 끌며 점차 동력을 잃고 있다.

1일 포항시 등에 따르면 총사업비 3조2천억원의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은 2023년 2월 기획재정부가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에 들어간 이래 2년이 넘은 현재까지 별다른 진척 사항이 없다. 건설을 위한 첫 삽을 뜨기는 커녕 아직 노선조차 확정 짓지 못한 것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비용 문제다. 중앙정부가 비용 절감을 위한 노선 변경 방안을 요청했고, 이에 따라 포항시에서는 최대한 가능한 방법을 찾아 협의에 들어간 상태다. 먼저 전면 해상교량에서 양보해 포스코에서 동해면까지의 구간은 해저터널로 대체하는 방안을 확정했다. 이는 군사적 요충지인 영일만에서 군부대가 정상적인 활동을 하기 위해서라 더는 타협할 방법이 없다.

추가로 시는 노선을 좀 더 육지 쪽으로 당겨 포스코 5투기장 부지를 거쳐간다는 방안을 마련해 포스코 등과 협의 중이다. 이렇게 되면 수심이 깊은 동해 한복판에 교량이 거쳐갈 인공섬을 따로 조성하지 않아도 돼 사업 비용 상당 부분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포항시의 제안에도 기재부와 국토부 등이 다른 대안을 계속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자 이를 두고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일각에서는 '비용'을 이유로 노선조차 확정하지 않는 것은 해상 대교 건설 자체를 무효화하려는 포석이 아니냐는 강한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지난달 20일 서석영 도의원은 영일만대교 건설 사업의 노선 변경 움직임을 반대하고 본래 계획된 노선으로 조속히 추진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하는 5분 자유발언을 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달 11일 이칠구 도의원도 도정질문을 통해 사업의 신속 추진을 위한 도 차원의 기민한 대응을 요청했다.

최윤석 포항시 토목팀장은 "해상 노선은 포항의 남과 북을 잇는 교통순환을 완성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올해 상반기 총사업비 변경을 승인받아 하반기에는 기본 및 실시설계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전준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