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이재민은 대피소 생활 중인데 여야 추경 논의는 하세월

  • 논설실
  • |
  • 입력 2025-04-10  |  수정 2025-04-10 07:10  |  발행일 2025-04-10 제23면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은 꺼졌지만,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의 고통은 사라지지 않고 있다. 한평생 살던 집이 한순간에 잿더미가 돼 돌아갈 곳이 없다. 이번 산불로 피해를 본 주택 수는 4천197채다. 전소한 주택이 3천654채나 된다. 이재민 3천273명 가운데 440명은 아직도 마땅한 거처를 찾지 못해 체육관 등 대피소에 머문다. 경로당, 마을회관, 연수원 등 임시거처에 있는 이들도 2천명이 넘는다. 내 집이 아닌 곳에서 생활하는 불편함이 오죽하겠나. 이재민 대부분이 고령층이라 언제까지 이렇게 지낼 순 없다.

이재민을 위한 임시조립주택을 마련하고 있지만 언제 들어갈지 장담할 수 없다. 임시주택 입주 수요는 2천905채인데 현재 공급이 진행 중인 임시주택은 56채에 그친다. 산불 피해가 워낙 커서 임시주택 공급이 지연되고 있다. 당장 살 집이 없어 힘들지만 앞으로 먹고살 일도 막막하다. 농기계·하우스 등이 모두 타버려 농사마저 지을 수 없다. 자식처럼 키우던 가축도 잃었다. 고통은 갈수록 커질 수밖에 없다.

이재민의 가장 큰 바람은 빠른 일상 회복이다. 이를 위해선 추경 편성이 시급하다. 정부는 지난달 30일 산불 피해 극복 등을 위해 10조원 규모의 신속 추경을 제시했지만 정쟁으로 국회에서 논의조차 안되고 있다. 기대를 했던 8일 국회의장과 여야 원내대표 간 회동도 더불어민주당의 불참으로 성사되지 못했다. 이날 회동에선 산불 관련 추경 등을 논의할 예정이었다. 한시가 급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선 신속한 추경 편성이 급선무다. 우선 여야 간 이견이 없는 추경부터 통과시키면 된다. 이번 추경만큼은 당리당략이 아닌 민생만 바라보고 처리하길 바란다. 이재민의 고통을 더는 외면해선 안 된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