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 예비후보가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집권 청사진 등을 소개하는 '비전 선포식 및 캠프 일정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당내 대선 경선 방식을 '권리당원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인 '국민참여경선'으로 결정하면서 비명(비이재명)계의 반발이 상당하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역선택 방지와 당내 요구 사항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설명했지만, 일부 비명계 안팎에선 경선 불참이나 다른 대안을 찾을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12일 특별당규위에서 결정한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이날부터 이틀간 전당원 투표, 14일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거쳐 확정한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 경선룰을 앞선 19대, 20대 대선에서 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방식인 '국민경선' 방식이 아닌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꿨다.
특별당규위는 국민경선 방식으로 후보를 선출할 경우 국민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역선택(상대 당 지지자 등이 조사에 참여해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끌어내리는 것) 위험이 높다고 봤다. 또 당원과 일반 국민이 1인 1표를 행사한다는 점에서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고 봤다.
비명계 주자들은 특별당규위에서 경선룰이 발표되자 당내 지지기반이 탄탄한 이재명 전 대표를 위해 경선룰을 바꿨다며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 캠프의 고영인 대리인은 12일 입장문을 내고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특정 후보만을 위한 위원회일 수는 없다"며 “'누가 더 유리하겠다'라는 것이 빤히 보이는 룰은 공정한 룰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이어 “노무현 대통령이 선출되던 16대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전 대표가 후보로 선출됐던 지난 20대 대선 경선 때까지 모두 국민선거인단을 통한 경선이 원칙이었다"며 “(이를 배제하는 건) 민주당이 오랫동안 지켜왔던 원칙을 스스로 무너뜨리는 일이며 주권자 역할을 하는 국민을 수신자로 격하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경선룰 확정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며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서는 절대 안 된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에 숙고를 하겠다"며 경선 '보이콧'을 시사했다.
이처럼 비명계는 당 특별당규위에 결정을 재고할 것을 요청하면서 “경선 참여 자체를 숙고하겠다"고 언급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경선 불참 선언을 포함한 다양한 시나리오가 흘러나오고 있다. 일부 비명계 후보들의 탈당과 제3지대를 기반으로 한 무소속 출마라는 관측까지 언급되는 상황이다.
현재 '어대명' 분위기 속 김부겸 전 국무총리, 전재수 의원 등 출마를 저울질했던 후보들이 포기한 상황에서 다른 비명계 주자들까지 경선 보이콧을 선언할 경우 민주당 경선의 흥행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또 이재명 후보에 대한 중도층의 반감 역시 커질 수 있다.
다만 비명계 주자들의 반발에도 국민참여경선은 그대로 확정될 가능성이 크다. 이춘석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당의 룰을 결정하면서 후보를 설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