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선관위 1차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차기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룰'을 정하는 과정에서 내부 잡음이 상당하다. 14일 민주당이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확정하자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요구해온 일부 비명계는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추대 경선'이라며 경선 보이콧을 선언하는 등 한동한 내부 잡음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이날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선출한다는 내용의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당규'를 제정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이번 대선 경선룰을 앞선 19·20대 대선에서 당원과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방식인 '국민경선'이 아닌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꿨다. 당원 주권 강화와 역선택(상대 당 지지자 등이 조사에 참여해 당선 가능성이 높은 후보를 끌어내리는 것) 방지를 위해서다. 다만 이번 결정을 두고 비명계에선 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를 위한 경선 방식이라며 반발해왔다.
비명계의 반말에도 민주당은 전날(13일)부터 이틀간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하고 이날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거쳐 경선룰을 확정했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경선룰' 확정을 위해 진행한 당 중앙위원회와 당원 투표 결과를 발표했다. 민주당에 따르면 국회에서 진행된 민주당 1차 중앙위원회에는 당 중앙위원 590명 중 510명이 참석해 '국민참여경선'으로 이번 경선을 진행하자는 안에 492명(반대 18명)이 찬성했다.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당원 투표에서도 민주당 권리당원 114만 749명 중 38만 9천33명(34.1%)이 참석해 37만 5천978명(96.64%)이 해당 안건에 찬성했다. 투표에 참석한 권리당원 중 반대 인원은 1만 3천55명(3.36%)뿐이었다. 이처럼 중앙위원회와 당원 투표 모두 과반을 넘기면서 민주당의 이번 대선 경선룰은 '국민참여경선' 방식으로 최종 확정됐다.
국민참여경선은 당원들의 압도적인 지지를 받는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하다는 것이 중론이기 때문에 비명계의 반발도 상당하다. 김두관 전 의원은 당 결정에 반발하며 사실상 경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반면 불출마가 예상됐던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지적하면서도 당원들 결정을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19일부터 27일까지 주말 이틀을 이용해 호남과 영남, 충청, 수도권 등 4개 권역에서 순회 경선을 실시할 예정이다.

서정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