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대구시, 미군부대 이전 대선 공약화 검토

  • 노진실
  • |
  • 입력 2025-04-21  |  수정 2025-04-21 08:11  |  발행일 2025-04-21 제9면
20개 과제 중 이전사업 포함

신성장 공간 마련 핵심 골자

25일 대선공약 최종안 확정

[단독] 대구시, 미군부대 이전 대선 공약화 검토

 

 

대구시가 대선 후보에게 건의할 지역공약 중 하나로 도심 미군부대(기지) 이전 사업의 국가 주도 추진 방안을 검토한 것으로 파악됐다. 각종 현실적 제약 탓에 장기 표류 우려가 큰 대구 미군부대 이전 사업이 대선 공약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20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시가 최근 대선 지역공약 발굴을 위해 검토한 20여 개 핵심과제 중 '도심 군부대 이전을 통한 신성장 공간 마련'이라는 과제가 포함됐다.

대구 도심 곳곳에 산재한 군부대 이전 사업을 통해 도심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자는 게 이 과제의 핵심골자다. 앞서 대구시는 국군부대 5곳(육군 제2작전사령부·제50사단사령부·제5군수지원사령부·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방공포병학교)과 미군부대 3곳(캠프워커·캠프헨리·캠프조지)의 이전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미군부대 이전사업의 경우 절차상의 어려움 등을 고려해 국군 부대를 우선 이전(영남일보 2023년 12월15일자 등 보도)키로 했다.

이번 대구시의 대선 지역공약 발굴 과정에선 미군부대 및 국군부대 이전 사업에 대한 다양한 국가 지원방안이 폭넓게 검토된 것으로 전해졌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구 미군부대 이전 사업은 관련 법 제·개정을 통한 정부 지원 범위 확대와 'LPP(Land Partnership Plan·연합토지관리계획) 협정' 변경 체결을 통한 미군부대 이전의 국가주도 추진 근거 마련 방안 등이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국내외 정세와 관련 절차의 까다로움 등 각종 변수가 워낙 많은 미군부대 이전사업은 정부의 역할을 최대화시켜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으로 해석된다. 다만, 대구시는 미군부대 이전사업 등의 대선 지역공약화 가능성과 관련해선 말을 아끼고 있다.

시는 오는 25일쯤 지역 대선공약 최종안을 확정지을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지역공약 발굴을 위해 여러 핵심과제를 검토한 것은 맞지만 어떤 과제가 공약으로 건의될지 세부 내용은 아직 확정적으로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