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대선 공약은] 사업 연속성·현안 해결·지역 균형발전 방점

  • 노진실
  • |
  • 입력 2025-04-24 11:00  |  발행일 2025-04-24
[대구시 대선 공약은] 사업 연속성·현안 해결·지역 균형발전 방점

대구시청 동인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6·3 대선과 관련해 각 정당 대선 후보자에게 제안할 지역공약안을 24일 확정·발표했다.

이번 대구시의 지역공약은 전반적으로 기존 사업 연속성과 현안 해결 위주의 내용이 많이 포함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한 대구시는 구·군별 균형발전을 고려해 핵심사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대구시 등에 따르면, 이번에 확정된 지역공약은 4대 분야, 23개 사업, 76개 세부사업(총 82조 원 규모)이다.

공약 중엔 굵직한 지역 사업의 연속성을 꾀하는 과제가 대거 포함됐다. 대구가 역점 사업으로 추진했지만, 공약화를 통해 정부 지원과 동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는 사업들이다.

대표적으로 대구시 제1호 공약인 대구경북(TK)신공항 건설이 있다.

TK신공항의 경우 대구시가 지금도 중점 추진하고 있는 사안이다.

지난 1월엔 국방부가 '대구 군공항(K2) 이전 사업계획'을 승인, 관보에 고시하면서 신공항 건설 사업은 본궤도에 올랐다. 하지만, 탄핵 정국 등 각종 변수 속에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확보가 속도를 내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있었다.

이에 대구시는 2030년 적기 개항을 위해 국가재정 보조와 공자기금 융자 지원을 공약에 반영했으며, 대구-군위간 고속도로 신설·신공항철도 건설 등 연결교통망 구축도 함께 포함했다.

또 다른 대구시의 역점 사업인 군부대 이전 관련 정부 협조를 구하는 내용도 지역공약에 포함됐다. 대구시는 국군부대 5곳(육군 제2작전사령부·제50사단사령부·제5군수지원사령부·공군 제1미사일방어여단·방공포병학교)과 미군부대 3곳(캠프워커·캠프헨리·캠프조지)의 이전을 추진해왔다.

시는 도심 내 군부대 이전으로 확보되는 새로운 공간은 종합의료클러스터, 국제금융복합타운 등 신성장 거점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에 따른 기회발전특구와 경제자유구역 지정 등을 공약화 추진한다. 또한 '군부대 후적지개발 특별법' 제정과 군부대 후적지 개발제한구역 해제, 기부 및 양여재산 평가기준 개정 등 효육적 후적지 개발을 위한 제도 개선을 제안한다.

미군부대 이전사업의 경우, LPP(연합토지관리계획) 개정 협정 체결 등을 통한 국가주도 사업화를 추진한다.

각종 현실적 제약 탓에 장기 표류 우려가 큰 대구 미군부대 이전 사업이 대선 공약화를 통해 활로를 모색하는 것이다.

이밖에 행정통합과 취수원 문제 등 대형 현안들이 공약에 담겼다.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