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산불을 경험한 경북도가 산불진화용 임도(林道) 늘리기에 나선다. 5개년 계획 수립을 통해 임도 밀도를 전국 평균 수준으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29일 경북도에 따르면 5월 중순쯤 '제6차(2026~2030년) 임도설치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 착수한다. 용역 기간은 오는 11월까지다. 광역자치단체는 관련법에 따라 5년 단위로 임도 설치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번 용역의 추진 방향은 크게 5가지다. 먼저 제5차(2021~2025년) 계획의 추진 성과와 한계를 분석해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산림기본계획과 전국임도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에 부합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임도 설치는 산림 훼손 최소화는 물론 산사태 등 재해에 안전한 노선을 선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경제림 육성단지 조성 계획과 산불 발생 우려지 내 노선 계획도 용역에 포함된다.
경북도는 6차 계획을 통해 임도를 점차 늘려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아직 정하지 않았지만 임도 밀도(1㏊당 임도 길이)를 전국 평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게 우선 목표다.
현재 경북 공·사유림 전체 임도 길이는 2천750.43㎞, 1㏊당 임도 길이는 2.561m다. 이는 전국 임도 밀도 평균(4.1m)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고령(4.763m), 경산(4.733m), 칠곡(4.72m)만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울릉(0.832m)의 경우 임도 길이가 1m도 채 안된다.
이번에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의 임도 밀도는 각각 2.033m, 1.953m, 2.196m, 4.287m, 2.821m로 집계됐다. 경북 전체 산림 중 지방 임도 설치가 가능한 공·사유림이 107만4천169㏊인 것을 감안하면 임도를 추가로 1천㎞ 이상 늘려야 전국 평균에 근접한다.
앞서 산림청은 현재 856㎞가량인 산불진화용 임도를 2030년까지 매년 500㎞씩 늘려 3천856㎞로 확충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특히 산불진화용 임도를 동해안과 경북·경남 등 대형산불 취약지역에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산불진화용 임도는 기존 임도(3m)와 달리 도로 폭이 5m에 이르고, 임도변에 취수장과 진화작업 공간을 설치해 산불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산림청의 주장이다.
반면 환경단체 등은 임도가 오히려 산불 확산과 산사태를 일으키는 주범이라며 산림관리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내달 중순 임도설치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가질 예정"이라며 "산림청 계획에 발맞춰 임도 밀도를 전국 수준으로 늘리는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29일 경북도에 따르면 5월 중순쯤 '제6차(2026~2030년) 임도설치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에 착수한다. 용역 기간은 오는 11월까지다. 광역자치단체는 관련법에 따라 5년 단위로 임도 설치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이번 용역의 추진 방향은 크게 5가지다. 먼저 제5차(2021~2025년) 계획의 추진 성과와 한계를 분석해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한다. 또한 산림기본계획과 전국임도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에 부합한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임도 설치는 산림 훼손 최소화는 물론 산사태 등 재해에 안전한 노선을 선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경제림 육성단지 조성 계획과 산불 발생 우려지 내 노선 계획도 용역에 포함된다.
경북도는 6차 계획을 통해 임도를 점차 늘려나갈 계획이다. 구체적인 수치는 아직 정하지 않았지만 임도 밀도(1㏊당 임도 길이)를 전국 평균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게 우선 목표다.
현재 경북 공·사유림 전체 임도 길이는 2천750.43㎞, 1㏊당 임도 길이는 2.561m다. 이는 전국 임도 밀도 평균(4.1m)에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지역별로는 고령(4.763m), 경산(4.733m), 칠곡(4.72m)만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울릉(0.832m)의 경우 임도 길이가 1m도 채 안된다.
이번에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의 임도 밀도는 각각 2.033m, 1.953m, 2.196m, 4.287m, 2.821m로 집계됐다. 경북 전체 산림 중 지방 임도 설치가 가능한 공·사유림이 107만4천169㏊인 것을 감안하면 임도를 추가로 1천㎞ 이상 늘려야 전국 평균에 근접한다.
앞서 산림청은 현재 856㎞가량인 산불진화용 임도를 2030년까지 매년 500㎞씩 늘려 3천856㎞로 확충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특히 산불진화용 임도를 동해안과 경북·경남 등 대형산불 취약지역에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산불진화용 임도는 기존 임도(3m)와 달리 도로 폭이 5m에 이르고, 임도변에 취수장과 진화작업 공간을 설치해 산불진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게 산림청의 주장이다.
반면 환경단체 등은 임도가 오히려 산불 확산과 산사태를 일으키는 주범이라며 산림관리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내달 중순 임도설치 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가질 예정"이라며 "산림청 계획에 발맞춰 임도 밀도를 전국 수준으로 늘리는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박종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