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 사전대책도 사후대책도 낙제

  • 논설실
  • |
  • 입력 2025-05-09  |  수정 2025-05-09 07:47  |  발행일 2025-05-09 제27면
8일 국회에서 열린 SK텔레콤 유심 정보 해킹사고 관련 청문회에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25만여명의 이탈자에 대한 중도해지 위약금 문제에 대해 "면제를 시행할 경우 한 달에 최대 500만명의 고객이 이탈해 회사에 7조원가량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못해주겠다는 말이다. "지금 위기를 고객 중심이 아닌 기업 보호 논리로만 접근하고 있다"는 쓴소리가 쏟아졌다. 사상초유의 사태를 발생시킨 SK의 사전대책도 사후대책도 낙제점이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7일 고개를 숙였다. 그러나 최회장이 직접 나서기 전까지 SK의 대처는 실망스럽다.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유심교체에 나선다고 했지만, 마련된 유심은 가입자수의 10분의 1도 되지 않아 수많은 사람들이 대리점 앞에서 몇 시간씩 기다리다 허탕질쳤다. 최 회장도 사고 이후 대응이 미흡했다고 인정할 정도다. 정보보호대책에도 문제다. 가입자 2천300여만 명인 SK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조8천234억원이지만 정보보호투자액은 600억원에 불과하다. 최회장은 "보안문제는 '국방의 문제'라는 것을 통감했다"고 말했다. 사고가 터진 이후에 통감했다는 것은 지금까지 안일하게 대처해왔음을 시인하는 셈이다.

SK는 2천411만명이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했기에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한다. 유심도 다음 달까지 1천만개를 확보하기로 했다. 그러나 해킹 사고 이후 '유심 해킹 피해여부를 점검해 준다'는 등 피싱범들의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유심을 교체하기까지 가입자들의 불안감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1년에 벌어들이는 수조원의 영업이익은 가입자로 인한 것이지만, 가입자를 자신들의 돈벌이 수단으로밖에 보지 않는 태도는 천박한 장사치와 같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