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경북 산불 피해를 입은 일부 비지정문화재가 복구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비지정문화재는 국가나 광역자치단체가 지정한 문화재가 아닌 시·군 조례에 따라 향토문화유산으로 분류된 유산이다. 문화재의 경우 고택이 많은데 지정문화재가 아니면 일반 주택 피해 지원금만 받는다. 정부는 일반 주택 피해에 대해 2천만~ 3천만원대의 지원을 검토 중이다. 비지정문화재는 통상 수억 원에서 수십억 원의 복구비가 든다. 복구는 언감생심이다.
이번 산불로 의성·안동·청송 등 3개 시·군에서 총 10건의 향토문화유산이 전소되거나 일부 소실됐다. 안동시 상현정·동리재사를 비롯해 의성군 화산서원의 담장, 청송군 만취정 정자·창실고택 등이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모두 비지정문화재로 분류돼 정부 복구 지원에서 제외된다. 시·군 자체 예산으로 일부 보수는 가능하지만 피해가 큰 유산의 복원은 별도의 지원 없이는 사실상 어렵다. 이렇다 보니 일부 비지정문화재는 철거 위기에 놓였다. 경북도는 역대급 산불 피해를 입은 만큼 정부에 향토문화유산도 복구 지원 대상에 포함해줄 것을 건의했으나 정부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산불이 발생하면 지역의 향토문화유산이 또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경북도에 등록된 시·군 지정 향토문화유산은 487건이다. 조례로 지정되지 않은 비공식 향토문화유산까지 포함하면 9천건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토문화유산은 지역의 정체성과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소중한 자산인 만큼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나아가 화재에 매우 취약한 목재 문화재가 많은 우리나라 특성을 고려해 최첨단 방재시스템 구축 또한 시급하다.
이번 산불로 의성·안동·청송 등 3개 시·군에서 총 10건의 향토문화유산이 전소되거나 일부 소실됐다. 안동시 상현정·동리재사를 비롯해 의성군 화산서원의 담장, 청송군 만취정 정자·창실고택 등이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모두 비지정문화재로 분류돼 정부 복구 지원에서 제외된다. 시·군 자체 예산으로 일부 보수는 가능하지만 피해가 큰 유산의 복원은 별도의 지원 없이는 사실상 어렵다. 이렇다 보니 일부 비지정문화재는 철거 위기에 놓였다. 경북도는 역대급 산불 피해를 입은 만큼 정부에 향토문화유산도 복구 지원 대상에 포함해줄 것을 건의했으나 정부는 명확한 답을 하지 않고 있다.
문제는 앞으로 산불이 발생하면 지역의 향토문화유산이 또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 경북도에 등록된 시·군 지정 향토문화유산은 487건이다. 조례로 지정되지 않은 비공식 향토문화유산까지 포함하면 9천건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향토문화유산은 지역의 정체성과 전통문화를 상징하는 소중한 자산인 만큼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나아가 화재에 매우 취약한 목재 문화재가 많은 우리나라 특성을 고려해 최첨단 방재시스템 구축 또한 시급하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