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기범이 사용한 특정 업체 명함과 경주소방서 소방관 사칭 명함. 경주소방서 제공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해 민간업체에 장비 구매를 요청하고 대금을 송금받는 납품 사기 사건이 경주를 포함한 전국 곳곳에서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관계 기관들은 실제 피해 사례가 확인된 만큼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17일 경주소방서는 최근 방열복 구매를 빌미로 한 사칭 사기 피해가 연이어 접수돼 주의를 당부했다. 소방서에 따르면 지난 11일과 13일, 지역 가구점과 사무기기 업체에 각각 '경주소방서 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전화를 걸어 소방서에 납품할 방열복과 간이소화장치 등을 특정업체를 통해 구매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이 중 한 업체는 실제로 금전을 송금해 피해를 입었다. 사기범은 소방관 사칭 명함과 '중앙안전용품'이라는 업체 명함을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주소방서는 사건 직후 주요 거래처, 문구점, 수리업체, 인쇄소 등 관련 업종에 주의 안내를 전파했다.
국립공원공단 소속 사무소를 사칭한 납품 사기도 확인됐다. 팔공산동부사무소 직원을 사칭한 인물이 펜스 설치 공사 명목으로 납품업체에 접근한 뒤 "자동제세동기(AED)를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구해 일부 금액이 사기 계좌로 입금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공단은 즉시 전국 50여 개 사무소에 해당 사례를 전파하고 납품업체에 물품구매시 사전 진위 확인을 요청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관계 기관들은 "공공기관은 민간 업체에 직접 장비 구매를 요청하지 않는다"며, "전화나 명함만으로 거래를 유도할 경우 반드시 해당 기관의 공식 번호로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